기자명 김동우기자
  • 입력 2017.01.09 15:28

공무원 가장 높고 자영업자 가장 낮아

[뉴스웍스=김동우기자] 한국의 경제행복지수가 5년만에 최저수준으로 떨어졌다. 최근 진행되고 있는 조선업 등 주요 취약업종의 구조조정 여파, 트럼프 당선에 이은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불안한 국내외 경제 상황이 반영된 것이라는 분석이다.

9일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조사된 제19회 경제행복지수는 100점 만점에 38.4점을 기록했다. 2011년 12월 유럽 재정위기로 인한 경제적 불안감으로 37.8점을 기록한 이후 5년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경제행복지수’란 개인이 경제적 요인과 관련하여 만족과 기쁨을 느끼는 상태에 대한 평가로 지난 2007년 12월부터 현대경제연구원이 반기별로 조사해 발표하고 있다. ▲경제적 안정 지수 ▲경제적 우위 지수 ▲경제적 발전 지수 ▲경제적 평등 지수 ▲경제적 불안 지수 ▲전반적 행복감 등 총 6개 세부항목으로 나뉜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경제행복지수를 구성하는 6개 세부항목 중 경제적 평등은 16.7점, 경제적 불안은 25.2점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득 불평등이 개선되지 않고 있으며, 경기침체와 구조조정에 따른 실업률 증가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직업별로는 고용의 안정성이 높은 공무원이 46.9점으로 행복감이 가장 높았다. 반대로 내수시장 위축 등 경기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고 있는 자영업자는 28.1점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의 고령층이 29.3점으로 행복감이 가장 낮았고 20대의 경우 46.5점으로 가장 높았다. 30대는 42.7점으로 젊은 층의 경제행복지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령층의 경우 은퇴 이후 소득이 크게 감소한 상태에다 노후준비 부족에 시달리고 있기 때문이다. 20대와 30대는 상대적으로 경제적 부담이 덜하다는 것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소득별로는 연소득 ‘2000만원 미만 저소득층의 행복지수는 30.2점으로 가장 낮았으며 연소득 8000만원 이상은 56.4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만 소득수준이나 자산규모는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았지만, 전반적으로 전기대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학력이 높을수록 경제행복지수가 높았지만, 대졸과 대학원졸의 경우 행복지수는 전기대비 하락했다.

경제적 행복의 가장 큰 장애물은 ‘노후준비 부족(34.0%)’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1년 전(28.8%)에 비해 응답률이 크게 높아졌다. 또 2017년 한국 경기가 작년에 비해 ‘더 안 좋아질 것(64.4%)’이라는 비관적 응답이 과반을 크게 웃돌았으며 6개월 전(56.2%)과 1년 전(55.1%)에 비해서도 높아졌다.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로는 ‘4대 구조개혁을 통한 경제체질 개선(36.1%)’이라는 응답과 ‘경기활성화 대책(36.4%)’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올해 새로운 정부가 출범함에 따라 단기 대책(경기 활성화)과 중장기 대책(경제체질 개선)의 조화를 주문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김동열 현대경제연구원 이사는 “노후준비 부족을 보완해 줄 수 있도록 주택을 담보로 한 주택연금(역모기지) 활성화와 고령친화적 일자리 대책이 시급하다”며 “경제적 불평등을 완화할 수 있도록 주거비와 교육비 관련 지원 대책도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