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김벼리기자
  • 입력 2017.03.17 09:21

[뉴스웍스=김벼리기자] 4차 산업혁명의 거센 흐름에서 한국이 전반적으로 뒤쳐져있는 가운데 최근 정부에서는 4차 산업혁명을 육성하기 위한 각종 정책들을 내놓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중소깅버에 대한 ‘스마트공장 보급’ 장려책이다. 그러나 이를 두고 실효성을 의심하는 목소리가 일고 있다.

최근 정부는 스마트공장 협약보증 대출을 통해 기술력과 혁신의지를 갖춘 중소·중견기업의 스마트공장 투자 확대와 제조업 경쟁력 향상을 확대 지원하기로 했다.

스마트공장이란 기존 설비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공장이다. 중앙 컨트롤타워(MES시스템)를 통해 작업을 실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어 작업자가 일일이 지시할 필요가 없는 체계다. 그만큼 효율성이 높다.

스마트공장추진단 통계에 따르면 이 같은 스마트공장을 설치한 중소기업은 생산성이 기존에 비해 23%나 늘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 '스마트공장'이 4차 산업혁명이랑은 거리가 멀다는 비판이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스마트공장을 크게 기초, 중간1·2, 그리고 고도화 등 4단계로 나누고 있다.

기초란 공장설비는 그대로 두면서 여기서 나오는 성과물(실적)을 자동집계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통해 경영자는 공정물류 전반을 관리할 수 있다. 중간단계는 공장 설비 하나하나에 ICT를 탑재해 이들 설비를 통해 데이터를 자동 집계하는 체계다. 중앙에서 이들 설비를 통제해가며 유연하게 생산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까지는 일종의 과도기일 뿐이다. 스마트공장의 ‘완성체’는 '고도화' 단계다. 이 단계에서는 공장의 '중앙 컨트롤타워' 자체가 없다. 자재와 기계설비가 사물인터넷(IoT)을 통해 알아서 소통하며 '맞춤형 주문'을 하는 식이다.

그런데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공장'의 81.2%가 '기초' 단계에 그친다. 또한 나머지도 ‘중간’ 단계일 뿐이다.

정부의 이 같은 정책을 회의적인 시선으로 보는 이들은 ‘고도화’ 단계가 전무하다는 것에 방점을 둔다.

이들에 따르면 '고도화' 수준은 ‘기초’나 ‘중간’ 단계와는 질적으로 다르다.

고도화는 앞서 말했듯 '중앙 컨트롤타워'가 없이 자율적으로 각 기계설비와 자재가 소통하는 구조인데 여기서 가장 핵심은 ‘소프트웨어' 기술이다. 그러나 ’기초‘ 단계에 몰두하고 있는 정부는 그저 하드웨어 보급에만 관심을 쏟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런 비판을 두고 정부에서는 현실론을 내세운다. 아직 고도화를 제대로 구현한 곳은 전 세계 어느 나라도 없으며, 독일 또한 오는 2030년을 목표로 '고도화'를 추진 중인 상태라는 주장이다. 한국의 경우 기초 인프라를 까는 단계기 때문에 서두르면 오히려 독이 될 것이라는 우려다.

관련 전문가는 “AI, IoT 등 핵심적인 소프트웨어 영역들은 정부·학계·산업계 등이 같이 고민하면서 업그레이드시켜야 한다. 독일이 그런 예”라며 “미국이 나사(NASA)를 통해 항공우주기술을 선도했듯이 이들 핵심 기술을 키우기 위해선 국가적 역량을 결집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