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박지윤기자
  • 입력 2017.07.07 10:29
<출처=픽사 베이>

[뉴스웍스=박지윤기자] 서울의 주거 양극화 현상이 심해지고 있다. 전국에서 가장 집값이 많이 뛴 서울에 최저 주거기준에 미달하는 가구 비율이 상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7일 서울연구원이 발표한 '서울시의 주택문제와 부담가능한 임대주택 정책제언'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주택가격은 소득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이 11.2배에 달한다.

서울 아파트가격도 올 들어 전국에서 부산과 함께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 6월 서울 아파트값은 3.3㎡당 2000만원으로 올랐다. 지난해 11월 1901만원에서 100여만원 오른 수준이다.

이에 따라 최저주거기준에도 못 미치는 가구와 주택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비주택 거주가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와 비주택 거주가구는 전국 평균수치보다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2014년 기준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비율은 7.1%로, 인천(3.0%)과 경기(3.0%)에 비해 2배가 넘었고, 심지어 전국 평균(5.3%)보다도 높았다.

전국 미달가구 가운데 서울 미달가구는 2006년 20.0%, 2010년 21.4%로 점점 늘다가 2014년에는 26.0%로 치솟았다. 전국 최저수준 미달가구 4가구 가운데 1가구가 서울에 거주하는 셈이다.

비주택 가운데 오피스텔을 제외한 거주가구는 2005년 1만1900가구에서 2015년에는 7만9200가구로 10년만에 6.7배 증가했다.

또 비숙박업소나 종교시설, 임시구조물 등에 거주하는 가구는 같은 기간 4900가구에서 6만9900가구로 14.3배나 폭증했다.

박은철 서울연구원 연구위원은 "비주택 거주가구는 정확한 규모파악이 어렵고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에도 포함되지 않는 상황"이라며 "주거복지정책 지원대상에도 제외돼 비주택 가구의 주거사정은 더 나빠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