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최안나기자
  • 입력 2015.12.01 14:17

정부가 가뭄에 미리 대비하기 위해 극심한 가뭄에도 물 공급이 가능한 수리안전답 비율을 현재의 60%에서 80%로 높이고 4대강 물을 가뭄에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일 이 같은 내용의 '농업·농촌부문 가뭄대응 종합대책'을 국무회의에 보고했다고 밝혔다. 

우선 수리안전답 비율을 높이기 위해 4대강 인근 1만2,000㏊에 이르는 물 부족 농경지에 매년 용수를 1억㎥ 공급할 계획이다.  4대강 보인 공주보·상주보와 저수지(예당지·화달지)를 각각 연결하는 도수로 설치 공사는 이미 추진에 들어갔으며, 현재 공사 중인 83개 저수지도 예산을 투입해 완공을 앞당길 계획이다. 

가뭄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밭 용수 공급률은 18%에서 30%까지 높이기로 했다. 가뭄 상습지역 밭 15만㏊에 용수공급계획을 우선 적용하기 위해 고랭지배추 주산지인 강원 안반덕 지역에 내년까지 63억원을 투입해 양수장과 저수조를 설치한다. 

지능형 물관리 자동화사업 확대와 노후 저수지·양수장 개보수 등으로 물 관리손실률을 35%에서 25%로 낮추고, 버려지는 논물을 재활용해 농업용수 반복 이용률을 15%에서 30%로 개선할 예정이다.

정부의 가뭄 대응 체제도 가뭄 발생 후 응급 대응을 하기 보다 상시적으로 가뭄을 예측해 피해를 줄이는 상시 대응 체제로 개편한다. 이를 위해 농식품부는 가뭄 관련 종사자들이 참고할 수 있도록 저수율, 강우량, 유효토양수분량, 현장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농업가뭄지도'를 격주로 제작, 발표할 계획이다. 지도에는 각 지역 가뭄 상황이 관심·주의·경계·심각 4개 단계로 표시된다. 

농업가뭄지도를 바탕으로 가뭄 발생이 예측되면 농식품부 차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농업가뭄협의회를 열어 가뭄대책상황실 설치 여부 등을 결정한다. 3개 시·도, 10개 시·군, 5,000㏊ 이상 논·밭이 가뭄 주의 단계가 되면 농식품부에 가뭄대책상황실을 설치하고, 경계 단계가 되면 국민안전처에 중앙가뭄대책본부 설치를 요청할 수 있다. 또 매년 10월 1일 저수지별 저수량과 강수 상황을 점검해 저수율이 낮은 저수지는 강수 예측 시나리오에 따라 준설, 양수 저류, 관정개발 등 지역 실정에 맞게 용수 확보 대책을 펼친다.

이 같은 가뭄 대책을 추진하기 위해 농식품부에 농업가뭄협의회와 농업가뭄센터를, 한국농어촌공사에 농업가뭄지원단을 각각 설치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