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박경보 기자
  • 입력 2017.12.18 18:10

업계전문가 "피해는 중소 협력사와 소비자들의 몫"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생산라인에서 소형SUV '코나'가 생산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자동차>

[뉴스웍스=박경보 기자] 국내 자동차업계가 노사갈등으로 신음하고 있다. 특히 현대차와 한국지엠 노사는 올해 임단협에서 아직까지 이렇다 할 성과를 못 보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주 안에 합의안을 도출하지 못한다면 사실상 연내 타결은 해를 넘길 것으로 전망된다. 임단협 교섭이 다음해로 연기되는 것은 양사 모두 사상 초유의 일이다.

현대차 노사는 지난 15일 제38차 임단협 교섭을 벌였으나 임금, 정년연장 등 핵심쟁점에서 평행선을 달리며 소득 없이 끝났다. 노조 측은 이날 쟁의대책위원회를 거쳐 18~19일 추가파업 일정을 확정하고 또 다시 부분파업에 들어갔다. 18일부터 이틀 간 각조 4시간 씩 총 8시간 부분파업에 돌입한 노조는 19일 또 다시 추가파업 일정을 논의할 예정이다.

사측은 기본급 4만2879원 인상, 성과급 250%, 일시금 140만원, 단체 개인연금 5000원 인상 등의 최종안을 노조 측에 제시한 상태다. 하지만 노조는 기본급 15만4883원 인상, 지난해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등을 주장하며 사측과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올해 노조의 크고 작은 12번의 파업으로 현대차의 생산차질액은 약 1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014년부터 올해까지 약 2조원의 누적 적자를 기록하며 ‘한국 철수설’까지 휘말린 한국지엠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한국지엠 노사는 올해 22번이나 테이블에 함께 앉았지만 소득을 얻지 못했다. 사측은 지난 7월 월 기본급 5만원 인상, 성과급 1050만원 등을 제시했으나 노조 측은 8+8시간 주간 연속 2교대제 및 월급제, 미래 발전 전망과 철수설에 대한 회사 입장 제시, 30만명 고용 보장 등을 요구하며 강공을 펼치고 있다.

오는 19일 23차 교섭이 진행될 예정이지만 여전히 타결은 안갯속이다. 노조 측은 올해 안에 타결을 마무리짓자고 압박하는 반면, 사측은 ‘경영 악화’를 이유로 기존 제시안을 고수하고 있다.

이 같은 자동차업계의 노사갈등을 두고 사회적 질타가 쏟아지고 있다. 노사 간 갈등이 심화될수록 결국 피해는 협력 중소기업들과 소비자들이 떠안게 되기 때문이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공학과 교수는 “반복되는 파업은 제품 불량률 상승은 물론 협력사들에게도 큰 타격이 될 것”이라며 “국내 자동차 산업이 판매 하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노사가 힘을 합쳐 허리띠를 졸라매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귀족노조'라 불리는 자동차 노조가 받아들일 수 없는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는데 사측은 끌려 다니기 바쁘다”며 “정부가 뒷짐 지고 있을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중재에 나서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의 경우 독일, 일본 등 주요 글로벌 자동차 업체 대비 연간 약 1000만원 이상 많은 급여를 받지만 오히려 생산성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편이다. 특히 공장 설립 등 경영권에 자동차 노조가 개입해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례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