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한동수기자
  • 입력 2015.12.06 13:15

교역량 1조달러 재달성하려면 정부·업계공동대책 마련 시급

우리나라 수출이 내년에 다소 나아질 가능성도 있으나, 대외변수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경제전망보고서가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6일 ‘2016년 수출의 주요이슈 점검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보고서는 내년 수출액이 5550억달러, 수입액은 4624억달러로 각각 올해보다 3.9%, 4.1% 증가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따라서 무역수지규모는 925억달러로 올해 민간 경제연구소 등이 전망하고 있는 900억달러보다는 소폭(약 2.7%) 늘어날 것으로 분석했다. 이 전망치대로만 되면 우리나라는 내년 올해 달성하지 못한 연간 교역량 1조달러도 재달성하게 된다.

그렇지만 변수도 5개를 제시했다. 이 5개변수가 심화될 경우, 수출입 증가 예상치는 줄어들수도 있다는 얘기다.

보고서는 내년 수출에서 ▲선진국-신흥국 회복세 디커플링(비동조화) ▲저유가 ▲원화 약세 ▲한·일 가격경쟁력 역전현상 ▲한·중 기술경쟁력 축소 등 5개 위험요인이 있다고 평가했다.

선진국-신흥국 회복세 디커플링(비동조화)

우선 내년 세계경제 회복세가 선진국 위주로 이뤄질 경우 신흥국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수출경기 회복이 제약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올해 한국 수출의 58.2%가 신흥국, 41.8%가 선진국으로 신흥국 수출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내년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신흥국 외환위기 우려가 고조되고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경기둔화가 지속되면 수출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저유가

내년에도 배럴당 30~40달러대의 저유가 현상이 지속될 전망이다. 원유 수입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통상 유가 하락시 물가하락에 따른 실질소득 증가로 소비에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그러나 올해처럼 세계경기가 부진할 경우 수출물가가 떨어져도 수출물량이 예전보다 높은 상승세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평가다.

원화약세

미국 연내 금리인상으로 내년 원화 약세는 더 심화될 전망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해외 투자은행(IB)들이 예상한 2016년 원·달러 평균 환율은 상반기 1211원, 하반기 1221원이다. 다만 내년 일본, 유로존의 추가 양적완화 가능성으로 엔화와 유로화도 통화가치가 동반하락하면서 원화 약세에 따른 수출개선세가 예전처럼 크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원·달러 환율은 15.7% 절하된 반면, 엔·달러 및 달러·유로 환율은 각각 14.0%, 7.4% 절상돼 원화 수출경쟁력이 크게 개선됐는데 내년에는 엔화, 유로화도 동반약세가 예상돼 수출경쟁력 개선효과가 반감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미국 금리인상으로 환율 변동성이 확대되는 것도 수출 증가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한·일 가격경쟁력 역전현상

엔저현상으로 일본 수출품 가격이 떨어지는 것도 한국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일본 수출 가격은 2013년 –9.2%, 2014년 –4.0%, 2015년 1월~9월 –9.3%로 하락세다. 보고서는 “엔저로 일본제품의 상대적 가격경쟁력이 높아지는 역전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고 분석했다.

한·중 기술경쟁력 축소

중국과 한국의 기술경쟁력 격차가 좁혀지는 것도 부담이다. 양국 기술 격차는 2012년 1.9년에서 2014년 1.4년으로 단축됐다. 이는 같은기간 우리나라와 일본의 기술격차가 3.1년에서 2.8년으로 좁혀진 것에 비교해 추격 속도가 한층 빠른 것이다. 이로 인해 과거 한국과 중국이 선진국과 신흥국간의 국제 분업질서인 ‘안행형’(雁行型, 미국 주도 수출시장에 일본-홍콩·싱가폴-한국·대만 등이 뒤따르는 모습을 기러기떼가 비상하는 것에 비유) 성장 모델이 붕괴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정부·산업계 공동 대응책 마련해야

보고서는 내년 수출 리스크 대응방안으로 ▲기업과 정부의 수출경기 회복의지 ▲선진국, 신흥국 수출 차별화 전략 ▲기업 생산비용 절감 및 사업구조 재편 ▲외환시장 안정화 대책 ▲수출기업의 환위험 관리 및 금융지원 등을 제안했다.

백다미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수출의존도가 가장 높은 중국 경기둔화 및 성장전략 변화에 대응해 중국 내수시장 수요에 맞는 소비재 수출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며 “기업들은 생산비용 절감, 사업구조 재편 등을 통해 저유가에 따른 제품단가 하락 영향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