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차상근기자
  • 입력 2015.12.10 14:19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0일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더라도 곧바로 한은이 동조해 금리를 올리지는 않겠다는 뜻을 비쳤다. 미국 금리인상에 있어 한국 경제를 위협할 최대 리스크로는 취약 신흥국의 위기 확산을 지목했다.

이 총재는 이날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앞으로 완화 기조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가되, 이 과정에서 미국의 통화정책 변화와 그에 따른 국내 금융시장 리스크 요인을 면밀히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이 총재는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을 오래 전부터 예상해왔고 그 속도도 완만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을 들어 우리 금융시장에 대한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이 총재는 “국내 시장의 불안이 높아질 경우에 대비해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을 마련해놓고 있다”며 시장 변동성이 급격히 확대되면 시중 유동성 관리 등의 방안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어 미국 금리 인상의 파장과 관련 “취약 신흥국에 금융 위기가 발생해 개별국 밖으로 확산되는 것이 (우리 경제에) 가장 우려되는 요인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향후 경제 성장 전망과 관련해선 잠재성장률이 3%대 초반으로 하락할 수 있다고 내다봐 민간 경제연구소 등의 전망과는 다소 높은 수치를 제시했다.

이 총재는 “글로벌 경기 회복세가 생각보다 약하고 물가 하락세는 예상보다 큰 폭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국내 경제에 ‘하방리스크’로 작용할 것을 우려하기도 했다.

아울러 내년 국제 유가를 배럴당 50달러대로 전망해 내달 중 경제전망을 내놓겠다고 했다.

그는 ‘소비 절벽’에 대한 불안이 확산하고 있는 데 대해서는 “임금이 꾸준히 상승하고 물가 하락 등으로 실질구매력이 높아진 점을 감안하면 소비 절벽에 대해 그렇게까지 우려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 총재는 2017년부터 한은 금통위 개최 횟수를 연 8회로 축소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와 유럽중앙은행(ECB), 영란은행(BOE) 모두 연 8회 개최하며 일본도 내년부터 8회로 축소한다는 점을 예로 들며 통화정책 결정회의에 시장이 과민반응하는 점을 배경으로 들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