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양민후 기자
  • 입력 2018.02.28 14:51
<사진=행정안전부 블로그>

[뉴스웍스=양민후 기자] 개인의 유전정보를 분석해 특정 질병에 걸릴 확률 등을 알려주는 유전체 분석 시장이 점점 커지면서 분석기업이 늘고 있다. 하지만 이들 기업들의 개인정보에 대한 보안은 허술한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28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영철 정보통계연구실 연구위원의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인터넷 홈페이지를 갖춘 국내 38개 ‘비의료 유전자 검사기관’ 가운데 52.6%가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홈페이지에 게시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개인정보 처리방침 게시 여부는 해당업체가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조치를 실시하고 있는지 파악하는데 중요한 항목이다.  

국내 민간 유전자 검사기관 48개 가운데 인터넷 홈페이지가 존재하는 기관은 38개였으며, 이들 중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게시하지 않은 기관은 20개였다.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게시한 업체 18곳 가운데 주민등록번호, 외국인등록번호 등과 같은 고유식별정보를 처리하고 있다고 게시한 기관은 7개(38.9%)였지만, 이들 중 2개 기관은 안전성 확보 조치 항목을 게시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홈페이지를 통해 유전자 검사 결과를 조회할 수 있는 기관은 전체 38곳 중 6곳(15.8%)으로, 이들 기관은 온라인을 통한 개인정보와 유전정보 노출의 위험성이 컸다. 하지만 이들 중 절반(3곳)은 개인정보 보안에 필수적인 ‘개인정보 전송 시 암호화’ 등의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조사결과에 대해 정영철 연구위원은 “유전정보 보호 혹은 유전자 검사 기관을 위한 포괄적이고 상세한 국가적 지침이 필요하다”며 “특히 홈페이지의 정보보안 취약점을 개선하고, 개인정보 전송 시 암호화 등의 장치가 마련되야 우리 국민의 유전정보가 해외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미국에서는 2001년 1억달러에 달하던 개인유전체검사(Genome Sequencing)비용이 현재 100달러 안팎으로 이용 가능해짐에 따라 유전체분석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크리던스 리서치(Credence Research)가 2016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개인의뢰유전자검사(DTC)시장은 2015년 기준 약 7000만달러 규모였으며, 매년 25.1% 성장해 2022년에는 3억4000만달러에 달할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2015년 ‘23andme’ 등에게 개인의뢰유전자검사(DTC)를 승인했고,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의사나 의료기관을 찾지 않고도 유전자 검사를 받을 수 있게 됐다. 국내에서는 2016년 6월30일부터 민간 유전자 검사 기관이 콜레스테롤, 피부노화, 탈모 등 제한된 검사항목에 대해 소비자에게 직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