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고종관기자
  • 입력 2018.05.16 12:11
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응급안전돌보미시스템. 현재의 기술은 사건이 발생한 뒤에 대처하거나 활동을 모니터링 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뉴스웍스=고종관기자] 정부가 거동이 불편한 독거노인이나 장애인의 생활안전을 돕는 웨어러블 상황인식 디바이스 개발에 나선다.

산업통산자원부는 신체활동 취약자의 안전과 독립적인 삶을 지원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2년6개월에 걸쳐 정부출연금 20억 원을 지원키로 했다고 16일 밝혔다.

기존에도 이들 취약계층을 위한 IoT 또는 ICT를 활용한 기술은 있었다. 하지만 이들 기술은 사고가 발생한 이후의 대처나 활동량을 확인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산자부가 이번에 발굴하는 기술대상은 신체활동 취약자가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실시간 케어할 수 있는 상황인식 센서 디바이스다. 여기에는 사용자의 행동, 위치, 생체 등의 복합정보를 수집·처리할 수 있는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웨어러블 기술이 결합된다.

산자부는 제품의 경제성과 지속 사용이 가능한 기술개발에 중점을 뒀다. 종래에도 사용자의 위치 파악이나 신체활동, 체온을 센싱하는 기술은 개발돼 있다. 따라서 이번 과제에는 전력 소모가 적고, 착용이 편하며, 사용시간을 극대화하는 기술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습득한 상황인식 정보를 분석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도 개발한다. 이 같은 행동분석 기술을 통해 맞춤 대응이 가능해진다.

지난해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680만 명에 이른다. 이중 독거노인은 144만 명으로, 이 같은 추세라면 2035년에는 35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거동이 불편한 인구가 급증하면서 이들의 생활안전을 지원할 기술 개발이 화급한 상황이다.

외국의 경우, EU의 AAL(Active and Assisted Living) 프로그램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카메라, 모션 센서 및 오디오 센서 등이 탑재된 멀티센서를 이용해 파킨슨병이나 경증 치매 독거노인의 독립적인 생활을 돕고 있다.

산자부 관계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지속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면 개발에 의미가 없다”며 “이번 기술 개발의 목표는 철저한 사용자 중심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