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양민후 기자
  • 입력 2018.09.11 11:20

올해 이어 내년에도 1800억원대 예산 투입

지난 7월19일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열린 '의료기기 산업분야 혁신방안' 발표회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이 헬스케어혁신파크를 방문, 첨단의료기기를 보고 있다. <사진=청와대>

[뉴스웍스=양민후 기자] 정부가 2022년까지 제약·의료기기·화장품 등 바이오헬스 분야 일자리를 4만2000여개 이상 창출하기 위한 계획을 세웠다. 이를 위해 올해 1828억원에 이어 내년에는 1881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보건복지부는 11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주최로 열린 제7차 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바이오헬스 신성장동력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 계획'을 논의·의결했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2017년 14만4000개였던 바이오헬스 분야 일자리를 2022년까지 18만6000개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제약·의료기기·화장품분야에서 3만5000개, 창업 지원분야에서 4000개, 미래신산업 육성분야에서 1000개, 글로벌진출 지원분야에서 2000개의 일자리를 각각 만들 계획이다.

복지부는 목표 달성을 위해 앞으로 인공지능의 데이터 처리기능을 활용한 신약 후보물질 탐색, 기존 약물의 새로운 효과 발견(drug repurposing) 등 신약개발 프로그램과 '스마트 임상시험' 기술을 개발하는 등의 방식으로 바이오헬스 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첨단의료복합단지 입주 연구기관에 대해서는 임상시험 계획 승인 시 다른 신청에 우선해 신속하게 허가·승인할 수 있는 우대 조항 신설을 추진한다. 신약개발 지원 인프라를 고도화하기 위함이다.

'범부처 의료기기 연구개발(R&D) 사업'을 통해 2020∼2029년까지 총 2조8000억원을 지원해 마이크로의료로봇, 한국형 왓슨, 돌봄 로봇 등 차세대 의료기기 개발에 나선다.

R&D 비중이 높은 기업과 첨단기술 보유 기업을 혁신형 의료기기 기업으로 지정해 연구개발 등을 지원한다.

화장품산업진흥법 등 화장품산업육성 근거법을 마련해 우수기업을 키우고 연구개발 지원 등 혜택도 제공한다.

기술스카우트, 전담관리사 등 전문인력을 배치한 보건산업혁신창업센터를 통해 바이오 창업 기업을 밀착 지원하는 체계를 구축한다.

연구역량이 우수한 병원의 임상 경험 및 인프라를 기업이나 다른 연구소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개방형 실험실'(Field Lab)을 구축하고, 신약 개발 및 글로벌 진출에 도전하는 바이오헬스 기업에 투자하기 위한 1000억원 규모의 펀드 조성에 나선다.

복지부는 또 연구설비·창업 인프라를 갖춘 지역 바이오헬스 클러스터와 지방거점 병원을 연계해 지역 단위 벤처창업을 확대한다.

첨단의료복합단지 기업입주 요건을 완화해 청년 창업자, 소규모 벤처의 입주를 활성화한 다는 계획이다.

첨단의료복합단지 내 의료기관 CT·MRI 등 특수의료장비 설치를 위한 병상 확보 기준을 기존 200병상에서 60병상으로 낮추는 등 설치 요건을 완화해 연구개발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복지부는 바이오시밀러 등 바이오 의약품 생산량 급증에 따라 의약품 생산 및 품질관리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현장형 생산 전문인력과 기초과학·IT 등 다른 학문 지식과 과학적 연구방법론을 체득한 융합형 의사과학자를 양성하기로 했다.

3대 전이암(폐암, 위암, 대장암) 환자 1만명에 대한 유전체 자료를 확보해 국내 암 환자들이 공통으로 보유한 유전체 돌연변이를 파악하는 등 진행성 암환자 유전체 프로파일링을 통한 암 정밀의료 진단·치료법을 개발하기로 했다.

유전자치료제, 세포치료제 등 R&D 확대 추진 및 재생의료기술의 임상연구 활성화, 바이오의약품 개발 촉진 위한 법률 제정 등을 통해 희귀·난치 질병 치료를 위한 인체 세포 활용 재생의료 치료기술 개발에도 나선다.

고령화·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세계 바이오헬스 시장은 지속해서 성장하고 있다. 이 덕분에 바이오헬스산업은 고용 유발효과가 높은 양질의 고용집약 산업으로 일자리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국내 바이오헬스산업 일자리는 2013년 11만3000명에서 2017년 14만4000명으로 연평균 5.6% 증가했다. 특히 이 분야는 중소·벤처기업이 98%에 달해 동반성장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