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박경보 기자
  • 입력 2018.09.13 05:45

"부정부패는 무노조 결과물…투명하고 공정한 기업문화 만들 것"

포스코 노동자들이 지난 11일 고용노동부 포항지청 앞에서 금속노조 가입을 발표하는 기자회견을 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전국금속노동조합>

[뉴스웍스=박경보 기자] 포스코 노동자들이 지난 6일부터 민주노총 산하 금속노조에 가입하면서 포스코의 50년 무노조 역사가 막을 내리게 됐다. 구체적인 조합원 수는 아직 비공개지만 지회가 대표교섭권을 얻고 나면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게 될 전망이다.

금속노조는 13일 오전 10시 서울 정동 민주노총 기자회견장에서 포스코 노동자들의 가입보고 관련 기자회견을 연다고 이날 밝혔다. 

지난 11일 고용노동부 포항지청 앞에서 포스코 노동자들의 금속노조 가입 기자회견을 열었던 금속노조 포항지부는 서울에서 한 차례 더 기자회견을 진행한다. 포항제철소와 광양제철소에서 근무하는 1만7000여명의 정규직 노동자들 가운데 얼마나 많은 조합원들이 가입할 것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노조는 “포스코는 군사적인 상명하복식 강압적인 기업문화를 유지하며 살인적인 노동강도와 숨막히는 현장감시로 노동자를 통제해 왔다”며 “재벌이 아닌 대기업이지만 불량기업이 된 포스코를 개혁하고 바로잡기 위해 노동자들이 찾은 답은 노동조합”이라고 노조가입 취지를 설명했다.

노조는 이번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포스코지회의 본조직 구성을 늦어도 다음달까지 마무리할 방침이다. 이후 지회가 발송한 교섭요청 공문을 사측이 수용하면 대표교섭 지위를 얻어 노조활동의 첫 발을 떼게 될 전망이다.

그간 무노조경영 방침을 고수하며 노조활동을 가로막아 온 포스코는 노동계와 극심한 대립을 이어왔다.

노조에 따르면 포스코는 포항제철 시절인 1988년 조합원 2만4000명 규모의 대규모 노조가 세워지자 불과 3년 만에 이를 무력화시켰다. 개별조합원에 대한 감시와 회유, 협력업체 폐업 등으로 조직을 각개격파 방식으로 무너뜨렸다는 주장이다.

특히 노조는 포스코가 어용조직을 통해 노조가 현장에 발붙이는 것을 원천 차단해 왔다고 지적했다. 지난 2011년 복수노조가 허용되기 전까지 조합원 9명의 유령노조를 만들어 노동자들의 노조 설립을 법적으로 막아왔다는 것이다. 현재도 노동자들의 금속노조 가입이 잇따르자 이에 맞서는 ‘대항노조’ 설립설이 오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노조는 포스코의 잇따른 부정부패 사건도 무노조경영의 결과물이라고 보고 있다. 노조의 부재로 경영을 감시받지 않고 내부고발자도 없는 탓에 뿌리 깊은 권력 유착이 생겨났다는 것이다. 실제로 역대 정권들이 포스코를 집권의 ‘전리품’으로 취급하면서 각종 비리가 끊이지 않아 왔다. 이 때문에 포스코 회장들은 임기를 채우지 못한 채 법정에 서는 경우가 많았다.

포스코는 무노조경영은 물론 비정규직 불법파견, 원하청 노동자 간 임금 및 복지차별, 노동자 죽음으로 이어지는 취약한 노동안전시스템 등 각종 노동현안에 직면해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노조는 노동3권 보장과 노조방해조직 철수를 촉구하는 동시에 공정하고 민주적인 경영권 승계시스템을 함께 협의하자고 사측에 요구했다.

노조 관계자는 “일류기업으로 신망받던 포스코는 부패와 비리의 온상으로 퇴락했지만 이에 책임지고 반성하는 경영진은 찾아볼 수 없다”며 “노사 공동 이익에 기반한 새로운 노조는 노동자가 주체가 된 투명하고 공정한 기업문화를 실현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