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16.01.15 15:43

의미없는 부동산 전국단위 통계...바로읽고 똑바로 예측하자

충청도에 집이 남아 돈다고, 서울에서 주택난이 해결될 수 있을까.

공산품의 경우 전국 단위의 재고량 조사가 통계자료로서 의미가 있다. 전국을 사업권역으로하고 배송도 가능하니까 말이다. 그런데 부동산은 상황이 완전히 다르다. 부동산 통계는 지역별 상황과 변수를 감안해 발표하고 해석돼야한다. 의미 없는 통계자료는 시장에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국토교통부는 ‘2015년 11월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현황 자료’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11월말 전국 미분양 주택은 4만9724호로 전월대비 54.3%(1만7,503호)가 늘어났다.

이 통계는 전국에 미분양 주택이 넘쳐나는 것으로 해석되기에 충분했다. 부동산시장 참여자의 심리적 동요가 일어나 아파트를 사려는 사람은 주저할 수 밖에 없는 통계치였다. 여기에 ▲미국발 금리인상 ▲가계부채관리방안 대출 규제까지 겹치면서 수도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은 경직되기 시작했다.

국토부 자료를 시도별로 살펴보면 상황은 반전된다. 한 달새 증가한 미분양 1만7503호 중 1000호이상 증가 지역은 인천(1726호), 경기(9299호), 충북(2899호), 충남(1508호) 등 4곳이었다. 반면 오히려 감소한 곳도 있는데 서울(-23호), 부산(-117호), 대구(-7호), 경북(-183호)였다. 같은 기간 서울을 비롯한 4개 시도는 미분양 아파트가 줄어들고 있어 오히려 주택난을 예상할 수 있는 지역인 셈이다.

미분양 아파트가 가장 많이 증가한 경기도의 경우도 세분화해 살펴야하는데, 지난해 11월의 경우 전국 최대 미분양지역인 용인에서만 미분양 4236호가 발생해, 경기도 내에서도 오히려 미분양이 감소했거나 주택난이 심화되는 곳도 있다.

게다가 미분양이 줄어든 서울시의 경우 지난해 11월말기준 미분양아파트는 241호에 불과하다. 인구 천만 도시에 미분양 240여호는 거의 없는 것이나 다름없는 수치다. 전국적으로 5만호에 육박하는 미분양 주택이 발생했다고 서울 집값이 쉽게 요동칠 것으로 예측해선 안되는 이유다.

이런 예는 전국을 단위로 하는 주택전세가격지수에서도 그대로 나타난다.

KB주택가격동향조사 자료를 보면 지난해 연간 아파트전세가격 상승률은 전국 6.11%였다. 즉 연초대비 연말에 전국적으로 전세 보증금이 6%정도 오른 것이다.

그런데 세부적으로 상승률을 보면 서울(9.57%), 수도권(서울포함, 8.33%), 5개광역시(인천제외,4.61%), 기타지방(1.92%)순이었다. 전국적으로 6%정도 올랐으나 정작 그 비율에 맞게 상승한 지역은 없다. 이 표만 보면 전세난은 수도권지역의 경우 극심한반면 전국적으로는 안정세라는 셈이다. 그러나 전국평균치 6.11%로 해석하게 되면 연초대비 전국적인 전세난이 심화되고 있다고 해석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부동산 관련 전국단위의 통계는 국내 부동산시장 공급과잉 논란을 일으킨다. 실제로도시별로 보면 현실과 다른데도 말이다. 부동산 통계와 뉴스는 국민적인 관심사다.

보다 정밀하고 진정성있는 정보가 필요한 이유다. 또 부동산 통계를 접하는 실수요자들도 통계의 한계를 면밀히 살펴 부화뇌동해선 안되겠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