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양민후 기자
  • 입력 2018.10.12 11:55
박능후(맨 왼쪽) 보건복지부 장관이 옥천군 치매안심센터를 방문해 치매 가족들과 대화를 하고 있다(사진=보건복지부)
박능후(맨 왼쪽) 보건복지부 장관이 옥천군 치매안심센터를 방문해 치매 환자와 대화하고 있다.(사진=보건복지부)

[뉴스웍스=양민후 기자] 정부가 국민의 치매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전국에 설치한 치매안심센터 10곳 가운데 9곳은 각 직역별 전문인력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1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정춘숙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치매안심센터 256곳 가운데 간호사·사회복지사·임상심리사·작업치료사가 모두 근무 중인 곳은 37개소(14.5%)에 불과했다.

치매안심센터의 주요 업무는 치매진단으로, 1차 선별검사에서 인지저하로 분류된 노인에 대해서는 치매 진단검사를 시행한다. 이 검사는 임상심리사 또는 훈련 받은 간호사가 맡으며, 최종 평가는 센터가 고용하거나 위촉한 신경과 또는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의 업무다. 이처럼 센터가 제 기능을 하려면 각 직역 별로 전문인력을 갖춰야 한다

하지만 임상심리사가 없는 치매안심센터는 전국 256개소 가운데 무려 215개소(84%)에 이르고, 작업치료사가 없는 곳도 69개소에 달했다.

사회복지사·임상심리사가 없는 곳은 16개소(6.3%), 작업치료사·임상심리사가 없는 곳은 50개소(19.5%), 그리고 간호사만 일하고 있는 곳도 18개소(7%)나 됐다. 4개 직역을 모두 갖춘 치매안심센터는 단 37개소(14.5%)에 불과했다.

직역의 쏠림 현상도 심각했다. 광주광역시의 경우, 전체 치매안심센터 인력의 75%가 간호사였다. 해당 센터에는 작업치료사가 6.3%, 사회복지사가 4.2%에 불과했고, 임상심리사는 단 한 명도 없었다. 간호사의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낮았던 충청북도 치매안심센터에서도 간호사의 비율(44.6%)은 절반에 가까웠다.  

이런 직역부재 혹은 쏠림 현상은 모호한 업무범위 기준 때문이었다.

복지부가 제출한 ‘직역별 주요 역할 및 업무범위 설명 자료’를 보면, 직역별 주요역할이 순서만 다를 뿐 같은 업무로 구성돼 있었다. 각 직역의 전문성이 전혀 반영되지 않은 것이다.

복지부는 이에 대해 “지자체 여건에 따라 직역 등을 정해 운영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기준만 제시했다"며 "치매안심센터 인력 지침에 융통성을 부여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에 정 의원은 “모호한 인력지침으로 발생한 직역부재 등이 치매안심센터의 전문성을 떨어뜨리고 있다”며 “직역별 인력이 고르게 배치되도록 기준을 명확히 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틀을 고쳐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