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양민후 기자
  • 입력 2018.10.16 11:13
진료정보교류사업에 참여하는 의료기관 분포현황. (사진=신동근 의원실)
진료정보교류사업에 참여하는 의료기관 분포현황. (사진=신동근 의원실)

[뉴스웍스=양민후 기자] ‘진료정보교류사업’에 참여하는 의료기관이 특정지역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나 실제 효과에 의문이 제기됐다.

진료정보교류사업은 의료기관 사이에 진료정보를 전자방식으로 주고 받는 체계를 구축하는 사업으로, 환자가 병원을 옮길 때마다 진료기록을 들고 다니는 수고를 덜어주기 위해 실시되고 있다. 하지만 사업에 참여하는 기관이 특정지역에 편중되다 보니 환자가 선택할 수 있는 병원이 한정적이지 않느냐는 지적이다.

1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동근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사회보장정보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진료정보교류 참여기관은 서울(129개소), 부산(628개소), 대전(207개소), 대구(43개소), 경기(121개소), 전남(137개소) 등 6개 권역에만 위치하고 있었다. 인천·강원·충청·경상 지역 등은 해당사업이 추진되지 않은 상황이다.

진료정보교류사업이 실시중인 권역 안에서도 특정지역 편중 현상은 두드러졌다.

서울의 경우 129개 참여의료기관이 주로 마포구·강남구·은평구에 집중된 상태다. 경기에서도 성남시와 용인시 소재 의료기관 위주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전남에서는 대부분의 참여기관이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상황이다.

진료정보교류사업이란 환자의 진료정보를 의료기관 간에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교류할 수 있도록 구축한 네트워크를 말한다. 사업 참여기관을 이용하는 환자는 병원을 옮길 때마다 약물투약기록 등을 CD에 담아 들고 다니지 않아도 된다. 병원측은 약물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어 환자안전강화라는 이점을 누릴 수 있다.

현재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의료기관은 서울대병원,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등 모두 1265개다. 정부는 이 체계를 기반으로 큰 병원에서 중증질환을 관리하고, 중·소병의원에서는 만성질환 등을 관리하는 ‘협진모형’을 구상할 계획이다.

신 의원은 “협진모형이 성공적으로 안착하려면 무엇보다도 환자 생활권 내 중소병의원이 사업에 동참해야 한다”며 “지금처럼 특정지역에만 참여기관이 밀집될 경우, 환자의 편의에 문제가 생긴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이 사업이 절실한 지역은 큰 병원에 내원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도서산간 등 의료취약지”라며 “이들 지역에 위치한 중소병의원이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