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최승욱 기자
  • 입력 2018.10.29 10:26
전국금속노동조합 현대자동차지부가 지난8월 울산공장에서 임시대의원대회를 하고 있다. (사진=뉴스웍스 합성)
전국금속노동조합 현대자동차지부가 지난8월 울산공장에서 임시대의원대회를 하고 있다. (사진=뉴스웍스 합성)

[뉴스웍스=최승욱 기자] ‘광주형 일자리’에 현대차 공장 투자유치를 위한 작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주 광주광역시를 방문한 더불어민주당의 이해찬 대표와 홍영표 원내대표가 '광주형 일자리'의 성사에 대해 강력한 의지를 표명하면서 광주시와 노동계는 현대차에 제시할 투자협약서에 잠정 합의하고 31일 합의 여부를 최종 결정할 방침이다. 정말 다행한 일이고 앞으로 일자리 창출의 모범사례로 큰 기대가 된다.

'광주형 일자리'란 현재 자동차 공장 근로자들이 받는 평균 임금의 절반 정도만 받기로 하고 광주시 일대에 자동차 공장을 유치해 1만2000개 정도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것이 골자다.

2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광주시는 지난 28일 노동계, 전문가가 참여한 2차 ‘현대차 투자유치 성공을 위한 원탁회의’를 열어 앞서 광주시와 현대차가 진행한 기존 투자협약서(안)를 일부 보완했다.

광주시는 오는 30일 현대차를 직접 방문해 수정된 투자협약서에 관해 설명하고 현대차의 동의를 얻을 계획이다. 이후 노동계는 오는 31일 운영위원회를 열고 협약서를 의결할 예정이다.

양측 협상이 순조롭게 이뤄진다면 다음 달 초 노·사·민·정협의회를 열어 합의 사항을 추인할 예정이다.

문제는 현대차가 노동계와의 협상에 부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다, 현대차 노조가 광주형 일자리 재추진을 반대하고 있다는 점이다.

현대차 노조는 “자동차 판매 감소 추세, 한국 자동차산업의 위기 속에 광주형 일자리 추진은 국내 자동차산업 파국을 불러오며 풍선효과로 다른 지역 일자리 1만2000개가 사라질 것”이라며 광주형 일자리 재추진에 강력히 반대하고 있다.

'광주형 일자리'를 만든다고 해도 현대차 노조가 기존 일감을 나누어 줄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점도 걸림돌이다. 하지만 이 문제는 새로운 수출 시장 개척으로 타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별 걱정은 없다. 그러기 위해서는 한국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이 더 떨어지기 전에 속도를 내야 한다. ‘광주형 일자리’에 가속도를 붙여야 하는 또 다른 이유다.

일자리가 없어 좀 못한 일자리에라도 취업하고 싶은 젊은이들의 간절한 바람과 자동차 산업의 돌파구를 찾기 위해서라도 ‘광주형 일자리’는 반드시 성사시켜야 한다. 독일의 폴크스바겐이 기존 근로자들보다 20% 낮은 임금에 주 3시간 더 일하는 '아우토 5000' 실험으로 회생의 발판을 마련했고, 2009년 대규모 리콜로 위기에 빠진 도요타자동차가 낮은 임금을 내세워 투자를 유치한 기타큐슈 공장 덕분에 경쟁력을 회복하는 데 성공한 사례를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광주형 일자리'는 광주시만의 문제가 아니다. 일자리 정부를 표방한 새 정부가 국가적 숙제로 추진해야 할 최우선 과제다. 만약 이번 ‘광주형 일자리’를 성공시키지 못한다면 앞으로 일자리 창출을 말할 자격이 없다. 위기에 빠진 한국 경제에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서도 시급하고 반드시 이뤄내야 할 소명이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