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김동호 기자
  • 입력 2018.11.08 11:08
일본에서 수입된 경피용 BCG에서 비소성분이 나온 것으로 알려지며 파문이 일고 있다. 사진은 경피용 BCG를 접종받은 영아의 모습. (사진=식품)
일본에서 수입된 경피용 BCG에서 비소성분이 나온 것으로 알려지며 파문이 일고 있다. 사진은 경피용 BCG를 접종받은 영아의 모습. (사진=식품의약품안전처)

[뉴스웍스=김동호 기자] 일본에서 수입된 경피용(도장형) BCG 백신에서 비소 성분이 검출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자녀들에게 해당 접종을 한 부모들을 물론 신생아를 둔 부모들이 공포에 휩싸였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7일 "일본 후생성이 결핵 예방을 위해 1세 미만의 영아에게 접종되는 BCG 백신의 첨부용액(생리식염수주사용제)에서 기준을 초과하는 비소가 검출돼 출하를 정지시켰다”면서 해당 제품에 대한 회수절차에 들어갔다. 그러나 해당 백신이 국내에  얼마나 유통되거나 사용됐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비소(Arsenic)는 원소 자체로는 독성이 없으나 다른 원소와 화합물로 사용할 때 강한 독성이 발생한다.

경피용 BCG백신은 결핵예방을 위해 기존 주사 방식과 달리 피부에 주사액을 바른 뒤 9개의 바늘을 가진 주사도구를 이용해 두번에 걸쳐 강하게 눌러 접종하는 방식이다. BCG백신은 평생 1회만 접종한다. 

경피용 BCG 백신은 국가에서 무료 지원하는 피내용 백신과 달리 접종비를 소비자들이 부담하고 있다. 이는 내피용 백신의 공급 부족으로 인한 불가피한 선택으로 풀이된다.

백신 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식약처는 보도자료를 통해 “일본 후생성은 백신이 아닌 첨부용제(생리식염수액)가 일본약전 비소기준을 초과했지만 일본 국립의약품식품위생연구소의 건강영향평가 결과, 비소로 인한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어 회수하지 않고 제조 출하만 정지했다고 발표했다”면서 “식약처는 일본 후생성 조치를 검토하는 한편, 국내 대체품이 있는 점을 고려해 우선 해당 제품의 회수조치를 내렸다”고 밝혔다. 비소(주사)의 1일 최대 허용량은 1.5㎍(체중 5㎏)이지만 첨부용제의 최대함유 비소량은 0.039㎍(0.26ppm)으로 1일 허용량의 38분의 1 수준이라는 것이다. 

문제는 일본 측의 발표가 있기 전까지 우리 보건당국에서는 아무 것도 알지 못했다는 점이다. 저출산 문제가 심각한 우리나라에서 아이들의 생명과 직결된 예방접종 조차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다면 부모들은 누구를 믿고 아이를 낳고 키울 것인가.

이와 관련 청와대 국민청원게시판에도 관련 글이 잇달아 올라와 부모들의 극심한 불안을 반영했다. 이들은 “화가 치밀어 오른다. 누가 책임질 것이냐” “이러고도 애를 낳으라고 할 수 있냐” “이런 질병관리본부 없애라” “식약처장 사퇴하라”며 성난 목소리를 내고 있다. 또 8일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는 불안한 부모들의 접속이 이어지며 접속 불능상태까지 이어졌다.

보건당국의 미흡한 대처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가습기 살균제, 메르스, 살충제 계란 사태 등에서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이며 국민의 신뢰를 잃었다. 

정부는 국민의 건강, 특히 어린 아이들의 생명과 직결된 의약품 등 관리 등에 대해서는 더욱 더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이번 일을 계기로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안심하고 아이를 낳고 키울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국가의 책무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된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