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박지훈 기자
  • 입력 2018.11.11 06:50

외국인자금 이탈하는데 금리차 더 벌어지면 곤란...국내경기 둔화는 '부담'

[뉴스웍스=박지훈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지난 8일(현지시간) 현행 기준금리를 유지하는 동시에 오는 12월 인상을 시사하면서 한국은행이 이달 30일 예정된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어떤 결정을 내릴지 주목된다.

이날 연준은 FOMC 성명서를 통해 "고용시장은 지속적으로 향상됐고 경제활동은 ‘강한’ 성장세를 보였다"며 "또 일자리도 탄탄한 증가세를 보였고 실업률은 낮아졌다"며 경제에 대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이어 "금리목표 범위의 점진적 인상이 경제활동의 지속적 확장과 노동시장 호조, 목표 물가 달성에 부합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12월 인상을 강력하게 시사했다.

이에 따라 오는 11월 30일로 예정된 한은 금통위도 이를 참고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한은이 기준금리를 현행 1.5%로 동결하고, 연준이 12월 추가 금리인상에 나설 경우 한미간 금리차는 0.75~1.00%포인트까지 벌어진다. 이렇게 되면 지난 10월 주식시장에서 있었던 대규모 외국인 자본유출 현상은 더욱 심화될 수 있다.

물론 한은도 한미간 금리 격차 확대에 따른 금융 불안정을 해소하기 위해 이달 말 금리인상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달 22일 국회 국정감사에서 "대외 리스크 요인이 거시경제에 큰 부담을 주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금융 불균형을 완화하고 정책 여력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며 금리 인상을 시사했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 (사진=미연준 SNS)
이주열 한은 총재 (사진=한국은행)

하지만 우리의 경제상황이 올해뿐 아니라 내년에도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부분은 한은의 금리인상 결정에 부담으로 작용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개발연구원은 지난 6일 하반기 경제전망을 내놓으면서 국내 경제가 내년 내수경기와 수출 증가세의 둔화로 올해 2.7%보다 낮은 2.6%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통화정책은 물가가 빠르게 상승하기 어려운 상황을 감안해 현재 수준의 완화적인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또한 지난 10월 18일에 있었던 금통위에서도 현재 금리수준을 유지해 거시경제의 하방 위험을 완충하고, 최근 실물경제 성장세가 다소 둔화 조짐이 있다는 금리 동결 의견도 있었다.

시장에서는 전망도 엇갈린다. 한편에서는 이달 말 한은이 금리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보고 있지만, 경제상황을 고려할 때 인상 여부 결정은 쉽지 않을 것이란 진단도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