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박경보 기자
  • 입력 2018.11.19 10:27

개별기업 평균지출액도 2016년 이후 반등…"탄핵·김영란법 등 영향 벗어난듯"

삼성전자 임직원 100여명과 대한적십자사, '경동원' 관계자들이 지난 16일 어려운 이웃을 위한 김치 800포기를 담근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 임직원 100여명과 대한적십자사, '경동원' 관계자들이 지난 16일 어려운 이웃을 위한 김치 800포기를 담근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

[뉴스웍스=박경보 기자] 지난해 매출 500대 기업의 사회공헌 지출액은 2조7243억원으로 전년보다 30.1%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총액뿐만 아니라 각 기업의 평균 지출액도 2016년에 큰 폭으로 감소했다가 반등해 탄핵 사태·김영란법 시행 등으로 위축됐던 사회공헌 활동이 다시 활발해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9일 ‘2018 주요 기업의 사회적 가치 보고서’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전경련이 지난해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 중 설문 응답기업과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기업 198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사회공헌 지출액은 지난해 2조7243억5578만원으로 전년(2조947억8528만원) 대비 30.1% 증가했다. 

지난해 각 기업이 사회공헌에 지출한 평균 액수는 137억5937만원이었다. 기업 평균 지출액은 2015년 113억8059만원에서 2016년 106억8768만원으로 감소했다가 지난해 다시 반등했다. 또 1개사 당 사회공헌 지출액 중간값은 2015년 23억3800만원, 2016년 21억5148만원, 2017년 24억3500만원이었다.

전경련은 최근 사회공헌 프로그램의 트렌드를 ‘스위치(S.W.I.T.C.H)’로 압축했다. 구체적으로는 ‘청년 창업 지원(Startup)’, 미혼모·저소득여성가장 등에 대한 ‘여성지원(Woman)’, 노인·교통약자·다문화가족을 위한 ‘사회 통합(Integration)’, 진로탐색·역사체험·4차 산업 융합교육 등 ‘교육(Teaching)’, 임직원·고객·지역사회 참여프로그램을 통한 ‘소통(Communication)’, 건강증진·워라밸을 지향하는 ‘힐링(Healing)’ 등이다.

특히 기업들이 통일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하고 탈북 청소년․청년을 지원하는 사업을 확대하는 것이 눈에 띈다. 남북한 간 문화적 차이와 벽을 해소하는 데 중점을 둔 것이 특징이다. 통일 관련 대표적인 사회공헌 활동으로 ㈜한화는 탈북 청소년과 남한 청소년, 임직원이 함께 종주하는 ‘한화 자전거평화여행’ 동행 프로젝트를 운영 중이다. 하나은행은 탈북 청년의 안정적 정착을 지원하기 위한 ‘탈북청년 취업지원 멘토링’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이 밖에 우리 기업들의 대표 사회공헌 프로그램 평균 나이는 9.4세로 조사됐다. 사업 추진기간은 ‘6~10년’이 38.6%로 가장 많았고 ‘10년 이상’인 경우가 30.9%로 기업 사회공헌활동이 성숙 단계로 넘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 사회공헌 프로그램의 대상은 ‘아동․청소년’이 41.3%로 가장 많았고 장애인(11.9%), 사회일반(7.8%), 노인(6.8%), 환경(6.5%) 순이었다. 

또 기업들은 사회공헌 프로그램 운영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묻는 질문에 ‘지역사회가 당면한 문제 해결 및 지역 발전 기여도(29.6%)’,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23.0%)’, ‘기업(또는 CEO)의 미션과 철학(22.5%)’ 순으로 답했다.

전경련은 “위축됐던 기업 사회공헌 규모가 다시 늘어나고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 노력에 동참하는 등 기업들의 사회공헌 양상이 양적·질적으로 발전하는 추세”라며 “사회적으로 기업을 격려하는 분위기가 조성된다면 기업들이 사회공헌 활동을 더욱 능동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