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박지훈 기자
  • 입력 2018.11.20 17:22

'서민금융 나아갈 방향' 토론회…박창균 "은행 점포 감축에 대응 필요"

(사진=뉴스웍스 박지훈 기자)
더불어민주당 오세제 의원(왼쪽 세 번째) 이 20일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린 '4차 산업혁명 시대, 서민금융이 나아갈 방향' 토론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웍스 박지훈 기자)

[뉴스웍스=박지훈 기자] 상호금융기관이 4차 산업혁명을 중심으로 변화하는 금융환경에 대해 대응하지 못할 경우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배근호 동의대학교 교수는 20일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린 ‘4차 산업혁명 시대, 서민금융이 나아갈 방향’ 토론회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은 금융환경을 근본적으로 바꿀 정도로 영향력이 커 관련 기술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기관의 경쟁력이 결정될 수 있다"며 "상호금융기관이 4차 산업혁명에 철저히 대응하지 못할 경우 수익이 악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번 토론회는 더불어민주당 오세제 의원과 자유한국당 이종구 의원이 공동대표를 맡은 '서민금융활성화 및 소상공인지원포럼'이 주최했다.

이날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금융산업의 변화와 새마을금고의 대응 방향'을 발제한 배 교수는 "지역경제는 서민금융기관에 의존하는 중소기업과 관련 종사자, 영세 자영업자, 소상공인 등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상호금융기관이 경쟁력 확보뿐만 아니라 서민경제 활성화를 위해 금융과 4차 산업혁명 요소기술을 융합하는 과제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배 교수는 "상호금융기관이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생체인식, 사물인터넷, 블록체인 등 주요 기술을 투자자문, 트레이딩, 신용평가, 개인금융비서, 이상거래탐지, 챗봇 등 다양한 분야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비용 절감, 생산성 증대, 리스크 감소, 신규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박창균 중앙대학교 교수는 '상호금융기관 중심 서민금융시장 정상화'이란 주제 발표에서 상호금융기관이 금융 디지털화에 따라 관련 기술 활용 능력이 떨어지는 노인과 취약계층 등 디지털 소외계층의 금융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 교수는 "최근 디지털 금융이 가속화되면서 은행 점포 수가 2013년 5666개에서 지난해 4925개로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며 "전국에 광범위한 지점망을 갖춘 협동조합형 금융기관이 은행 지점 축소로 인한 금융 접근성 위축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