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양민후 기자
  • 입력 2018.11.21 14:32

심폐소생술 시행률 11배 증가

119대원들이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재난소방본부)
119대원들이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재난소방본부)

[뉴스웍스=양민후 기자] 지난해 급성심장정지로부터 생존한 사람이 2006년보다 4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2008년보다 11배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질병관리본부와 소방청은 119 구급대가 병원으로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사례 의무기록을 조사한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지난해 119 구급대에 의해 병원으로 이송된 급성심장정지 환자 건수는 모두 2만9262건으로 2006년보다 50% 이상 증가했다.

연도별로는 2006년 1만9480건, 2011년 2만6382건, 2015년 3만771건, 2017년 2만9262건으로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추세에 있다.

지난 11년간 발생한 환자를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이 65%였다.

급성심장정지 발생 주원인은 ‘질병’(70% 이상)이었으며, 질환별로는 심근경색·심부전·부정맥 등 심장의 기능부전에 의한 발생이 95% 이상이었다.

환자 발생이 가장 많았던 장소는 가정으로 전체 발생건수의 50%에 달했다.

지난해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8.7%, 뇌기능 회복률은 5.1%로 2006년 대비 각각 3.8배, 8.5배 증가했다. 이는 2016년에 견줘 향상된 결과다. 뇌기능 회복률이란 급성심장정지 환자가 퇴원 당시 혼자서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뇌기능이 회복된 상태를 말한다.

이에 반해 지난 11년간 생존율의 지역간 차이는 2006년 4.2%포인트에서 2017년 8.6%포인트로 2배 가량 벌어졌다. 뇌기능 회복률의 경우 지역간 차이는 2006년 1.6%포인트에서 2016년 7.3%포인트로 벌어졌다가 2017년 5.9%포인트로 다시 좁혀졌다.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2008년 1.9%에서 지난해 21%로 약 11배 증가했다. 다만 지역 간 시행률 격차는 2008년 2.5%포인트에서 2017년 26.9%포인트로 벌어지고 있는 모양새다.

질병관리본부와 소방청은 22일 ‘제7차 급성심장정지조사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이 같은 조사 결과를 공유한다. 생존률 및 심폐소생술 시행률 변화를 짚어보며 지역 간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다.  

심폐소생술 국민운동본부 하정열 이사장은 “환자 발견시에는 신속히 119에 신고하도록 하고, 심장정지가 가정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므로, 우리 모두가 심폐소생술에 관심을 갖고 익히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국가 심장정지 조사·감시 자문위원회장인 한림의대 오동진교수(심장내과)는 “급성심장정지조사는 정부의 노력과 의료기관의 협조로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국가조사통계지표를 생산하고 있다”며 “이런 지표가 관련 인프라 개선과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