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양민후 기자
  • 입력 2018.12.10 14:34

내년부터 일반인, 암 생존자 등 300명 데이터 분석하는 '헬스케어 빅데이터 쇼케이스 사업' 추진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7월 19일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열린 '의료기기 산업분야 혁신방안' 발표회에서 첨단의료기기를 직접 체험하고 있다.(사진제공=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7월 19일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열린 '의료기기 산업분야 혁신방안' 발표회에서 첨단의료기기를 직접 체험하고 있다. (사진제공=청와대)

[뉴스웍스=양민후 기자] 빅데이터·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로 국내 헬스케어 산업의 수준을 끌어올리기 위한 전략이 마련됐다.

구체적으로는 300명의 헬스케어 빅데이터를 생산·관리하고, AI를 신약개발에 활용하는 방안 등이 시행된다.

정부는 이번 전략을 통해 건강수명은 2015년 73세에서 2022년 76세로 늘리고, 바이오헬스 분야 일자리는 2016년 13만명에서 2022년 18만명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보건복지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4차 산업혁명 기반 헬스케어 발전전략'을 10일 발표했다.

이번 발전전략은 세계적으로 고속 성장하고 있는 헬스케어 분야를 국내에서도 혁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 따라 마련됐다. 이날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제9차 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됐다. 

정부는 중점 과제로 헬스케어 빅데이터 생산·관리 시범체계 운영, AI 활용 신약개발, 스마트 임상시험 체계 구축, 스마트 융복합 의료기기 개발, 헬스케어 산업 혁신 생태계 조성 등을 꼽았다.

우선 내년부터 2021년까지 일반인, 암 생존자 등 300명의 건강·의료·유전체 데이터를 추려 통합·분석하는 '헬스케어 빅데이터 쇼케이스 사업'을 추진한다. 참여자의 데이터를 생산·취합하고, 분석한 뒤 이를 관련 기술 및 서비스 개발까지 활용해 헬스케어 빅데이터 활용 경험을 축적할 계획이다.

또 AI를 활용해 신약개발 기간·비용을 단축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신약 후보물질 도출, 전임상시험, 스마트 약물 감시 등 개발 전체 과정에 활용 가능한 단계별 AI 플랫폼을 개발할 예정이다.

임상시험 효율과 품질 등을 관리하기 위한 스마트 임상시험 구축 사업도 진행된다. 차세대 임상시험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 임상시험 센터별 각기 다른 시스템을 하나로 통일해 임상시험의 효율성·품질을 향상하기로 했다. 이 시스템으로 임상시험 자원의 표준화 및 공동활용, 임상시험 설계, 환자, 모집 등 신약개발을 지원하겠다는 목표다.

이와 함께 내년부터 여러 곳에서 임상시험을 수행할 때 상호 인증 제도를 시범운영하고, 혁신형 제약기업의 신약개발 승인·허가 기간을 단축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빅데이터·AI·3D프린팅 등 신개념 의료기기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범부처 연구개발(R&D) 사업도 추진된다. 혁신 의료기술을 평가하는 별도의 평가체계를 구축하고, 체외진단 신의료기술평가는 사후평가방식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헬스케어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지역 바이오, 헬스 클러스터와 지방거점 병원을 연계하고, 병원·기업 간 공동연구 확산을 위한 개방형 실험실(Field Lab) 구축을 지원할 예정이다.

글로벌 정밀의료 시장은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연 15.2%, 헬스케어 AI 시장은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연 52.7%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민간전문위원·복지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자원부·식품의약품안전처 합동으로 '헬스케어특별위원회'를 설치해 이번 발전전략을 논의해왔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AI·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과 함께 기존에 없던 기술, 새로운 서비스 시장 등 헬스케어 산업의 지각이 변동하고 있다"며 "헬스케어 발전전략을 통해 현재의 성장 추이를 가속하고 국민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