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18.12.11 16:32
신용위험평가 절차 개요 (자료=금융감독원)
신용위험평가 절차 개요 (자료=금융감독원)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채권은행은 올해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통해 C등급 53개, D등급 137개사 등 총 190개사를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했다. 1년 전에 비해서는 9개사 감소했다.

1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대기업은 실적 개선 등에 힘입어 부실징후기업 수가 전년 대비 15개사 줄어든 10개사에 그쳤다. 반면 중소기업은 실적이 소폭 악화된 가운데 세부평가대상 기업의 실적은 더 크게 떨어지면서 부실징후기업 수가 180개사로 6개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금속가공 22개사, 기계 20개사, 도매·상품중개 18개사, 부동산·자동차부품 각 14개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철강·조선은 관련 산업의 수요 감소로 각 5개사 늘었으며 도매·상품중개, 고무·플라스틱도 각각 3개사, 2개사 증가했다.

기계와 자동차부품, 금속가공 업종은 각각 7개사, 3개사, 2개사 줄었다. 다만 2017년부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액은 2조3000억원 수준으로 대기업이 8000억원, 중소기업이 1조5000억원으로 각각 구성됐다. 또 은행권이 전체의 78.3%인 1조8000억원을 차지하고 있다.

부실징후기업 여신에 대한 자산건전성 재분류 시 은행권의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예상액은 약 2955억원으로 은행권의 양호한 손실흡수 여력 등을 감안하면 재무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시 BIS(국제결제은행) 비율은 15.49%로 6월말 대비 0.02%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감원 관계자는 “신용위험평가 결과 경영 애로를 겪는 기업에 대해서는 위기극복 및 경영정상화를 적극 지원토록 유도하겠다”며 “일시적 위기에 빠진 기업의 조속한 경쟁력 회복을 위해 채권은행 등이 유동성지원, 경영애로 상담 및 컨설팅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부실징후기업에 대해서도 기업의 자구노력을 전제로 채권은행 간 협력을 통해 정상화를 지원할 계획”이라며 “기촉법 재입법에 맞춰 신용위험평가 제도의 실효성 제고, 채권은행과 자본시장 간 연계강화 등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