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박경보 기자
  • 입력 2018.12.19 11:00

기업의 51.1% 부정적 전망… '투자 확대'와 '재무 관리'로 대응
한경연 "기업활력 제고 위한 우호적 정책환경 조성돼야"

(사진=뉴스웍스DB)
(사진=뉴스웍스DB)

[뉴스웍스=박경보 기자] 국내 주요 기업의 절반은 내년 경기가 올해보다 악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처럼 경기 전망은 좋지 않지만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기업들이 많아 경제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규제 완화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 176개사의 51.1%는 내년도 경기가 악화될 것으로 내다봤다고 19일 밝혔다. 

반면 올해와 비슷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44.3%, 올해보다 개선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4.6%에 불과했다. 특히 제조업 기업들은 59.8%가 내년도 경기를 부정적으로 전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초에 세웠던 목표 대비 매출 실적에 대해서는 34.7%의 기업이 부진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초과 달성할 것으로 응답한 기업은 11.9%로 부진기업의 약 1/3 수준이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에서 목표 대비 실적이 부진할 것이라는 응답이 40.2%로 가장 높았고 운수업(36.4%)과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36.4%)이 뒤를 이었다. 실제로 올해 1~3분기 상장사(578개)의 절반(46.4%)에 달하는 기업들의 매출이 줄고 약 60%가 영업이익이 줄어드는 등 실적이 악화됐다.

(표제공=한국경제연구원)
(표제공=한국경제연구원)

올해 경영상 겪은 가장 큰 어려움이 무엇이었는지 묻는 질문에는 경기불황으로 인한 내수부진이라는 응답이 절반이상(53.4%)을 차지했다.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 위축(20.5%)’과 ‘근로시간 단축, 최저임금 인상 등 노동정책(14.2%)’이 뒤를 이었다.

기업들은 내년도에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할 경영전략으로 ‘기존사업 및 신사업 투자 확대(28.4%)’와 ‘재무안정성 관리(25.6%)’를 1, 2순위로 꼽았다. 업종별로는 도소매업이 투자 확대(14.3%) 보다는 재무안정성 관리(42.9%)에 더 역점을 두고 제조업은 투자 확대(31.0%)에 주력한다는 전략이다. 전반적으로는 투자 증가와 시장점유율 제고 등을 통해 외형을 확대하면서도 재무안정성 관리와 사업 구조조정을 통해 내실을 다지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내년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올해와 비슷할 것이라는 전망이 가장 많았다.

특히 기업 활력 제고를 위해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할 정책으로는 ‘투자 활성화를 위한 규제 완화(30.2%)’가 첫 손에 꼽혔다. ‘노동유연성 확대 및 임금안정화(26.1%)’ 와 ‘환율 및 금리 안정화(21.6%)’에 중점을 둬야 한다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이 가운데 제조업은 ‘노동유연성 확대 및 임금 안정화’를 1순위로 응답했다. 최근 급격하게 오른 최저임금과 근로시간 단축 등 노동시장 경직성을 초래하는 정책들로 인해 높아진 부담감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표제공=한국경제연구원)
(표제공=한국경제연구원)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최근 제조업 취업자 수 감소 폭이 커지는 등 일자리 상황이 여전히 좋지 않은 상황에서 기업들의 경기 전망마저 어두워져 우려스럽다”며 “이런 상황에도 기업들이 내년 투자 확대를 고려하고 있는 만큼 정부에서도 적극적인 규제 완화 등으로 우호적인 정책적 환경을 조성해 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