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이동헌 기자
  • 입력 2018.12.20 14:04
(사진=YTN 뉴스 캡처)
(사진=YTN 뉴스 캡처)

[뉴스웍스=이동헌 기자] 침묵의 살인자로 불리는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사망하는 사건이 최근 잇달아 일어났다. 지난 18일 강원도 강릉의 한 펜션에서 고3 학생들이 잠을 자다 일산화탄소에 중독돼 3명이 목숨을 잃고 7명이 중태에 빠진데 이어 텐트 안에서 일회용 부탄가스 온수매트를 켜놓은 채 잠든 40대가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숨지는 사고가 발생한 것이다.

20일 경찰에 따르면 지난 19일 오후 6시께 경남 함안군 칠북면에 있는 수로에서 텐트를 안에서 잠자던 A(44)씨가 숨진 채 발견됐다. A씨가 깔고 잔 부탄가스 온수매트는 버너로 물을 끓인 뒤 이를 매트에 공급하는 형태였다. 경찰은 A씨가 온수매트를 사용하던 중 버너에서 일산화탄소가 누출되며 사고가 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일산화탄소 중독은 가정에서 연탄난방을 하던 1970~80년대에 만연한 사고였다. 난방 기술이 발전하고 소득 수준이 높아지면서 일상에서 거의 자취를 감췄던 용어가 되살아난 것은 그만큼 우리 사회에 안전의식이 결여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시대에 일산화탄소 중독이라는 사고가 잇달아 등장했다는 점에서 우리 사회의 안전불감증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

무엇보다 강릉 펜션 사고는 1만5000원이면 참변을 막을 수 있었다는 점에서 심각성이 있다. 사고를 당한 펜션은 지난 7월 농어촌민박으로 신고해 소화기와 화재경보기는 갖췄지만 1만5000원에 불과한 가스누출경보기는 설치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만약 유독가스가 방에 퍼졌을 때 경고음을 울려줄 가스경보기가 있었다면 꿈많은 고3 학생들의 참사는 없었을 것이다. 정말 어처구니없는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번 사고가 발생한 가장 큰 이유는 안전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데서 찾을 수 있다. 농어촌민박은 신고제로 운영돼 다른 숙박업에 비해 운영은 쉽지만 안전관리 감독은 허술해 사각지대에 있다. 사고 펜션에 영업 허가를 내줄 때 강릉시는 소방시설 점검만 했을 뿐 난방안전은 소관이 아니어서 별도로 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런 사례가 어디 강릉 펜션 뿐일까. 지난 1년 사이 터진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와 밀양 노인병원 화재 등 잇단 사고를 보면 대한민국의 안전관리 체계에 심각한 구멍이 있는 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사고가 난 뒤에는 당국이 잇달아 사후약방문 식으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목소리를 내지만 안전사고가 반복되니 한심하기 그지없다.

이번에도 정부는 전수조사를 해 대책을 내놓겠다고 공언하고 있다. 매번 반복되는 전수조사에 문제는 없는 것일까. 그동안 숱하게 발생한 유사한 안전사고의 경험이 있는데도 이 같은 사태가 반복되는 것은 전수조사를 수박 겉핥기식으로 한 것에서 비롯된 것은 아닐까.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전수조사에 문제가 없는지를 철저히 따져야 한다. 안전 관련 규정을 원점에서부터 따져 빠진 분야는 없는지 챙겨 보완하고 이를 반드시 지키도록 상시 점검하고 감독해야 한다. 국민들의 안전의식도 높여야 한다. 철저하고 촘촘한 관리 감독과 함께 국민들의 안전의식이 일정 수준이상으로 높아지지 않는 한 안전사고는 반복될 수밖에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