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19.01.09 11:42

서비스업 증가규모 둔화…도소매·숙박음식 감소
정부, 일자리 사업 예산…상반기 65% 집행 목표

(사진=뉴스웍스DB)
(사진=뉴스웍스DB)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지난해 연간 15~64세 고용률이 66.6%로 전년 수준을 유지한 가운데 15~29세 청년 고용률은 42.7%로 0.6%포인트 상승했다. 다만 2018년 취업자 증가규모는 9만7000명에 그쳐 글로벌 금융위기 시절인 2009년 8만7000명 감소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9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제조업의 취업자 수 감소세가 이어졌다. 제조업 취업자는 자동차·조선 등 주력산업의 구조조정 등의 영향으로 5만6000명 줄었다. 2017년 감소폭(-1만8000명)에 비해 다소 확대됐다.

건설업의 경우 취업자 증가폭이 축소됐다. 건설투자 둔화 등으로 취업자 증가 규모가 4만7000명에 그쳐 전년 증가폭인 11만9000명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서비스업도 증가폭 둔화가 심화됐다. 보건·복지, 공공행정, 정보통신 등이 늘었으나 최저임금 인상 영향을 받는 도소매, 숙박음식, 시설관리 등이 줄면서 5만1000명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는 전년 20만9000명 대비 15만명 이상 축소된 수준이다.

특히 과당경쟁, 업황 부진 등의 영향으로 도소매 취업자는 수는 7만2000명 줄면서 1년 만에 감소 전환했다. 숙박음식도 4만5000명 줄어 2년째 감소했다. 시설관리·사업지원업도 제조업 고용 부진, 인건비 부당 증가 등에 따른 파견축소로 6만3000명 줄면서 감소폭이 확대됐다.

기재부 관계자는 “생산가능인구 감소 전환, 온라인화·무인화 확산 등 인구·산업구조 변화 속에서 연간 취업자가 9만7000명 증가에 그쳤다”고 말했다.

다만 “2018년 고용률은 전년 수준을 유지하고 청년고용지표도 주 취업 연령층인 25~29세를 중심으로 크게 개선됐다”며 “상용직 근로자 증가, 임금 상승폭 확대, 고용보험 피보험자 증가 등 고용의 질 개선추세는 지속됐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는 올해 일자리 15만개 창출을 목표로 정책역량을 총집중해 총력대응하기로 했다. 이에 민간투자 활성화와 함께 자동차․조선 등 제조업 경쟁력 강화 및 관광 등 서비스업 부흥을 위한 규제개혁, 혁신성장 가속화에 나설 방침이다.

또 규제샌드박스법 시행(정보통신융합법, 산업융합법 등)에 따라 투자·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선도사례 적극 발굴·확산하고 창업 초기 지원을 강화해 성장과 회수 단계의 생태계를 중점 보강하는 등 제2의 벤처붐 조성에 나설 계획이다.

특히 상반기에 재정사업을 역대 최고 수준인 61%(176조7000억원) 조기 집행하고 일자리 창출과 직결되는 지역밀착형 생활 SOC 사업, 일자리 사업은 상반기 65% 집행을 목표로 집중 관리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