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원성훈 기자
  • 입력 2019.01.23 11:25

실태조사·공론화 과정 거쳐 연말까지 '정비계획' 수립

강맹훈 도시재생실장이 23일 서울시 본청 브리핑룸에서 '세운재정비촉진지구 정비사업계획'에 대해 서울시의 입장을 밝히고 있다. (사진= 원성훈 기자)
강맹훈 도시재생실장이 23일 서울시 본청 브리핑룸에서 '세운재정비촉진지구 정비사업계획'에 대해 서울시의 입장을 밝히고 있다. (사진= 원성훈 기자)

[뉴스웍스=원성훈 기자·남빛하늘 기자] 서울시가 현재 진행 중인 '세운재정비촉진지구 정비사업계획'에 대한 행정절차 중단 및 이 일대 도심전통산업과 노포(老鋪, 대대로 이어온 오래된 가게) 등을 골자로 하는 '보존과 정비에 대한 정비계획'을 연말까지 수립하겠다고 23일 발표했다.

강맹훈 도시재생실장은 이날 서울시 본청 브리핑룸에서 "그동안 역사문화자원에 대해선 최대한 보존 원칙을 지켜왔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진행 중인 세운재정비촉진지구 정비 사업계획(2014년 수립)과 역사도심기본계획(2015년) 상에는 생활유산을 반영하지 못한 채 추진됐다"며 "이를 재정비 계획에 반영하겠다"고 강조했다.

강 실장은 "지난 2015년 역사도심기본계획에 생활유산을 정리 반영한 바 있으나 법제화 되지 않아서 정비사업진행과정에 건물 철거 등 제도 운영의 사각지대가 존재했던 것이 사실"이라며 "향후 최대한 보존을 원칙으로 생활유산을 지켜나갈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다짐했다. 또한 "생활 유산은 2015년 지정됐다. 지금까지의 상황은 을지로 노가리 골목등은 생활 유산으로 지정됐지만, 빠른 변화를 따라잡기 위해 새로운 계획을 마련하겠다"며 "반발에 대한 대책은 대부분 중구청과 공동대응으로 대처할 예정이며, 생활유산 등이 법적인 요건에 맞다고 강제로 철거하는 등의 상황을 막기위해 노력하겠다"고 선언했다. 생활유산은 많은 사람들에게 기억되고 이어져 내려오는 시설, 기술, 업소 등이나 생활모습과 이야기 등 유무형 자산을 말한다.

세운상가 모습. (사진=YTN 뉴스 캡처)

세운상가 일대는 지난 1979년 정비구역으로 지정됐다. 시는 2009년 남북 녹지축 조성과 주변지역 개발을 위해 세운상가군을 철거하고 주변 8개 구역 대규모 통합개발을 추진하는 내용으로 재정비촉진계획을 수립했지만, 사업추진과정에서 통합개발에 따른 산업생태계 교란, 옛 도시조직 훼손, 생활터전 붕괴로 인한 사회적 갈등의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2014년 재정비촉진계획을 변경했다.

변경안은 세운상가군은 존치하고 주변지역은 옛 물길 및 가로 등 도시구조를 보전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구역별 지역여건을 고려해 8개 구역을 171개 구역으로 세분(세운3구역은 중규모로 분류, 1개구역에서 10개 구역으로 구분)했다.

시는 종전 계획 수립에 반영하지 못한 역사도심기본계획상의 오래된 가게와 공구거리 등 생활유산과 도심전통산업의 생태계 훼손 등의 문제가 제기, 계획 재검토를 통해 정비계획을 수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세운재정비촉진지구' 세운3구역에 있는 을지면옥, 양미옥 등 가게의 강제 철거를 철회하고, 공구상가가 밀집된 '수표도시환경정비구역'은 종합적인 대책이 마련될 때까지 사업추진 진행을 중단한다.

또한 세운재정비촉진지구 및 수표구역 내 보전할 곳과 정비할 곳에 대한 원칙을 정해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소유주 및 상인, 시민사회단체, 관련분야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논의구조를 만들어 충분한 협의과정을 통해 올해 말까지 세운상가를 포함한 도심전통산업 생태계를 유지하는 종합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중구 인쇄업, 가구·조명상가, 종로 쥬얼리, 동대문 의류상가·문방구 등 이 일대 집적된 전통 도심제조업 산업생태계와 관련해서는 도심 내 공공부지를 활용한 대체부지 확보, 상생협력 임대상가 공급·영세 제조산업 환경오염방지 대책 마련, 공동작업장 지원 등 도심제조·유통산업 육성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영세 전통 상인에 대한 대책으로는 임시상가 우선공급, 사업 완료 후 상가 재입주, 우선분양권 제공 등 기존 대책을 강화한다. 공공에서 임대상가를 조성해 영세 상인들에게 제공하는 '공구혁신센터'를 만들어 산업생태계가 유지되는 재생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서울의 역사와 지역의 정체성을 담고 있는 노포(老鋪) 등 생활유산과 도심전통산업을 이어가고 있는 산업생태계를 최대한 보존하고 활성화한다는 것이 시의 기본방향"이라며 "이번 일을 계기로 시민 삶과 역사 속에 함께해온 소중한 생활유산들에 대해선 보존을 원칙으로 지켜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세운재개발 지구는 지주공동사업추진위원회와 을지면옥이 현재 토지보상문제를 놓고 공방 중이며, 을지면옥은 현재 위치에서 장사만 할 수 있다면 재개발 자체는 반대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양 측은 현재 서울시 중재안을 놓고 협상 중이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