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박지훈 기자
  • 입력 2019.01.28 15:16

"GDP 성장률이 증가폭 결정"

(자료제공=한국경제연구원)
(자료제공=한국경제연구원)

[뉴스웍스=박지훈 기자] 실질적인 가계소득 증가는 경제성장으로 담보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OECD 27개국의 GNI기준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계소득 비중과 가계소득 증가 간 상관관계를 분석해 얻은 이 같은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2016년 우리나라 가계소득은 1016조5000억원으로 2000년(428조) 대비 2.37배 늘었다. OECD 회원국 가운데 6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한경연에 따르면 가계소득이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나더라도 실질적인 가계소득 증가폭은 GDP 성장률에 따라 결정된다. 고성장 국가(12개국)의 GDP 연평균증가율은 6.1%로 2016년 가계소득이 2010년 대비 2.44배 늘어난 반면 저성장 국가(15개국)의 경우 2.8%로 같은 기간 1.53배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번 조사에서는 가계소득 비중의 평균이 높은 나라일수록 가계소득 증가 배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고성장 12개국의 가계소득 비중은 62.5%로 저성장 15개국(68.6%)보다 낮았지만 가계소득 증가 배수는 더 높았다. 

특히 평균 가계소득 비중이 78.9%로 1위인 미국의 가계소득 증가는 1.77배(27개국 중 15위)로 OECD 평균인 1.93배에 못 미친 반면 평균 가계소득 비중이 52.6%로 가장 낮은 노르웨이의 가계소득은 2.28배(7위) 증가해 대조를 보였다.

최수연 한경연 선임연구원은 “비교기간 GDP 증가폭이 큰 국가는 가계소득 증가 배수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가계소득 비중과 가계소득 자체의 증가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계소득 비중이 높다고 해서 가계소득의 증가폭이 커지는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한편 한경연은 가계소득 증가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가계소득 내역도 살펴야 한다고 설명했다. 국민계정상 가계소득은 크게 임금근로자의 임금과 자영업자의 영업이익으로 구성된다. 2016년 자영업자 영업이익의 연평균 증가율은 업자 수 감소와 수익성 감소로 2010년 대비 1.4% 상승한 데 그쳤다. 이와 달리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임금근로자 소득이 연평균 6.7%씩 늘어나 전체 가계소득의 증가를 이끌었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가계가 경제성장의 몫을 더 많이 차지하는 것도 의미가 있지만 동시에 국가가 성장을 통해 파이를 키우면 가계가 나눠가질 수 있는 몫도 커진다”며 “가계소득이 실질적으로 늘어날 수 있도록 최근 심화되고 있는 우리 경제의 저성장 문제에 대한 해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