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원성훈 기자
  • 입력 2019.02.14 11:17

박주민,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 대표발의
"이동통신사·포털사이트, 30일 내 통신자료 제공사실 알려야"

지난 2월 11일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는 박주민 의원(왼쪽 첫번째). (사진= 원성훈 기자)
지난 2월 11일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는 박주민 의원(왼쪽 첫 번째). (사진= 원성훈 기자)

[뉴스웍스=원성훈 기자] 더불어민주당 박주민 의원은 이동통신사, 포털사이트 등 전기통신사업자가 정보·수사기관에 통신자료를 제공한 경우, 30일 내 이용자에게 통신자료 제공사실을 통지하도록 하는 '전기통신사업법 일부개정법률안'을 14일 발의한다.

통신자료란 포털이나 이동통신사업자 등 전기통신사업자가 보관하는 이용자의 성명, 주민번호, 주소, 전화번호 ID 등 개인정보를 말한다. 검찰·경찰, 국정원 등은 포털이나 이통사에게서 이용자의 통신자료를 받아 수사에 활용해왔다.

박 의원은 "그동안 이 같은 통신수사가 과도하게 이뤄져 문제라는 목소리가 높았다"며 "문재인 정부 들어 통신자료 제공 건수가 박근혜 정부 때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지긴 했지만, 2017년 한 해 동안 정보·수사기관에 제공된 전화번호 수만 630만을 넘는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통신자료 제공에 영장주의가 적용되지 않아 법원의 통제가 불가능한데다, 정보·수사기관이 정보주체에게 통신자료 획득 사실을 알려줄 필요가 없어, 불필요한 통신수사를 억제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이동통신사 쪽도 마찬가지다. 이용자가 통신자료제공 내역을 요청할 경우 알려주기도 하지만, 확인 요청 건수 대비 제공 건수는 작년 기준 1/3에 불과하다"며 "나머지 2/3의 경우 가입자가 통신사에 본인의 통신자료가 정보·수사기관에 제공됐는지 알려달라고 요청하더라도 알려주지 않는 셈"이라고 꼬집었다.

따라서 박 의원은 자신이 발의한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에 △ 포털, 이통사 등 전기통신사업자가 정보·수사기관에 통신자료를 제공한 경우, 통신자료를 제공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통신자료 요청 기관, 사유, 제공 내용, 일시를 이용자에게 알려주도록 하고 △ 통신자료 제공 통지로 인해 증거인멸 등 공정한 사법절차의 진행을 방해할 우려가 있어 정보·수사기관이 서면으로 통지유예를 요청한 경우, 최장 1년의 범위에서 통지를 유예할 수 있도록 하며 △ 통지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경우 전기통신사업자에게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을 담았다.  

박 의원은 "자의적이고 과도한 통신수사로 인해 개인정보가 침해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이 법안이 수사의 필요성·비례성을 갖추지 못한 쌍끌이식 통신수사관행을 바로잡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소망했다.

한편, '전기통신사업법 일부개정법률안' 발의에는 박주민 의원 외에 원혜영·윤호중·윤후덕·한정애·김병욱·김성수·김영진·김정우·신창현·정인화 의원 등 12명이 참여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