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고종관 기자
  • 입력 2019.02.20 10:28

EIU 조사, 의술 발달로 생존율 높아져 생산성 손실 갈수록 누증

대한암협회가 매년 주최하는 유방암 환자를 위한 '핑크리본' 캠페인.
대한암협회가 매년 주최하는 유방암 환자를 위한 '핑크리본' 캠페인.

[뉴스웍스=고종관 기자] 의술의 발달로 유방암 환자의 생존율은 높아지고 있지만 이들의 재취업 등 사회복귀는 크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시장분석기관인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은 2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아태 노동인구 중 유방암 환자 및 생존자’ 주제의 보고서를 공개했다.

화이자의 지원으로 시행된 이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유방암 환자의 15년 이상 생존율은 1996~2000년 83%에서 2011~2015년엔 92% 수준으로 크게 향상됐다. 진단 연령도 외국에 비해 훨씬 젊다. 국내 유방암 진단 연령 중앙값은 50세로 미국 62세에 비해 10년 이상 앞서 있다.

하지만 국내 유방암진단 환자의 사회복귀율은 북미 및 유럽내 7개국과 비교했을 때 가장 낮았다. 진단 당시 84%의 경제활동인구(65세 미만) 중 58%만이 일자리에 복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라별로 보면 영국이 82%로 가장 높았고, 이어 미국(80%), 프랑스(79%), 캐나다(79%), 노르웨이(74%), 네덜란드(71%), 독일(59%) 순이었다.

이로 인한 사회적 손실 또한 큰 것으로 조사됐다. 유방암 생존자의 경력 단절에 따른 생산성 손실은 최근 15년간 약 7배 상승해 6420억원 규모(2014년 기준)에 이른다. GDP기준으로 보면 1999년 0.02%의 손실 비중이 2014년 0.04%로 증가했다.

연구팀은 “유방암 환자가 계속 늘어나기 때문에 앞으로 이로 인한 경제적 비용이 광범위하게 사회문제로 확대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암 환자의 사회적 재활을 국가적 정책과제로 채택하자는 시각이 많다. 이들이 일자리로 복귀하지 못하면 개인의 삶의 질 뿐 아니라 국가경쟁력이 그만큼 상실된다는 것이다.

이들이 일자리 복귀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에 대해 ‘의학적 치료 방법’ ‘직장 내 대인관계’ ‘정부 정책’ ‘암 생존자의 사회경제적 지위’ 등 다양한 관점에서 규명하려는 연구가 국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경우 특히 ‘암환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 ‘미흡한 법률적 보호장치’ 등이 재취업 장애요인으로 분석했다.

실제 2017년 국립암센터가 일반인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암환자 직원은 동료를 배려해 행사에 참석하지 말아야 한다(54%)’, ‘기업은 직무경험이 있는 암환자보다 건강한 신규 노동력을 고용해야 한다(52%)’ 등 부정적 응답이 높았다.

삼성서울병원 암교육센터장 조주희 교수는 “부정적 인식과 잘못된 정보가 암 생존자의 사회복귀를 가로막는 장벽”이라며 “이제는 정부가 나서서 서구나 가까운 일본처럼 암 생존자 고용 문제를 정책과제로 적극 다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