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원성훈 기자
  • 입력 2019.03.01 05:00

정의당, 창원 성산에서 민주당과 정책연합 쉽지않아
민주당과 민주평화당과의 통합은 '산 넘어 산'

오는 4월 3일 보궐선거가 치러지는 경상남도 창원시 전경. (사진= 원성훈 기자)
오는 4월 3일 보궐선거가 치러지는 경상남도 창원시 전경. (사진= 원성훈 기자)

[뉴스웍스=원성훈 기자] 2020년 4월 15일 국회의원 총선거를 1년 여 앞두고 오는 4월 3일 실시될 경남 '창원 성산'의 보궐선거와 통영·고성의 재선거 결과에 정치권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여야의 성적표에 따라 총선 전략도 바뀌면서 정국을 유리하게 조성하기위한 정계개편도 이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주요 정당의 이합집산 동향을 비롯해 전체 판세를 좌우할 PK(부산·경남) 지역의 민심을 살펴보고 나아가 총선에서 스타로 부상하거나 몰락 가능성이 있는 주요 인사를 찾아본다. 3회 시리즈로 짚어본다.

◇ 4·3 재보궐 선거가 '바로미터'

현재까지 보궐선거 및 재선거가 확정된 곳은 경남 창원 성산과 통영·고성의 2곳이다. 더불어민주당은 4·3 재보궐 선거를 통해 PK(부산·경남) 지역을 민주당의 '고정 영토'로 만들겠다는 기세다. 그러나 최근 불거진 잇따른 2건의 악재로 인해 민주당이 의외의 고전을 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김경수 경남지사의 구속과 손혜원 의원의 '통영 땅 투기 의혹' 때문이다. 이에 더해 창원 성산을 지역구로 품고있던 '고(故) 노회찬 의원의 사망'으로 인한 민심의 변화가 어떤 방향으로 흐르게될지도 여전히 불투명하다. 민주당 일각에서 내심 불안해 하는 기색을 보이는 이유다.

고(故) 노회찬 의원의 지역구였던 창원 성산에서 출마를 벼르고 있는 후보군을 보자. 민주당 예비후보로는 현재 권민호·윤용길·한승태 등이 자천타천으로 거론된다. 자유한국당의 강기윤, 바른미래당 이재환, 정의당 여영국, 민중당 손석형 예비후보는 현재 선거관리위원회에 후보 등록을 한 상태다.

통영·고성 지역에선 김영수·양문석·최상봉·홍순우·홍영두 등이 민주당 예비후보다. 이들 중 유력한 후보로 꼽히는 양문석 전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은 현재 논의 중인 단일화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다. 이런 가운데, 여의도 정가의 한 핵심인사는 "이 2곳의 선거 결과가 내년 총선의 바로미터가 될 것은 분명하다"고 잘라 말했다.

오는 4월 3일 재선거가 치러지는 지역 중 한 곳인 경상남도 고령군은 '고령 대가야 축제'로 유명하다. (사진출처= 고령군청 홈페이지 캡처)
오는 4월 3일 재선거가 치러지는 지역 중 한 곳인 경상남도 고령군은 '고령 대가야 축제'로 유명하다. (사진출처= 고령군청 홈페이지 캡처)
오는 4월 3일 재선거가 치러지는 지역 중 한 곳인 통영시 '연대도'의 모습이 이채롭다. (사진출처= 통영시청 홈페이지 캡처)
오는 4월 3일 재선거가 치러지는 지역 중 한 곳인 통영시 '연대도'의 모습이 이채롭다. (사진출처= 통영시청 홈페이지 캡처)

◇ 민주당-정의당, 중앙에선 '연대', 창원 성산에선 '각자 행보' 예측

민주당은 지난 6·13지방선거에서 경남 지역 광역단체 2곳을 모두 석권했다. 특히 이번 재보선이 치러질 2곳에선 시장·군수까지 배출했다. 그만큼, 창원 성산과 통영·고성의 두 지역은 민주당 당세가 강한 지역이다. 다만, 창원 성산 지역에는 일정 부분 고(故) 노회찬 의원 추모 정서가 남아있다고 봤을 때, 민주당이 정의당과의 정책연대가 어떤 식으로 귀결되느냐에 따라 선거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앙정치 무대에서와는 달리 민주당과 정의당이 창원 성산에서 정책연대를 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측하는 분위기가 만만찮다. 민주당으로서는 PK(부산·경남) 지역을 고정적인 민주당의 영토로 편입시키기 위해 승리가 절실하지만 정의당은 창원 성산 지역이 이제는 정의당의 상징처럼 된 고(故) 노회찬 의원의 지역구였다는 점에서 다른 지역은 몰라도 이 지역만큼은 내줄 수 없다는 분위기가 짙다. 최근 정의당 이정미 대표가 지역 민심을 다독이기 위해 방문했던 것도 이런 차원이 아니었겠느냐는 관측이다.  

따라서 중앙정치무대에서는 결국 총선을 앞두고 민주당과 정의당이 현재 수준에서 정책연합식의 선거를 치를 것이라는 견해가 우세하지만, 이번 창원 성산 보궐선거에선 각자도생으로 갈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점쳐진다.

정치권에서 거론되는 민주당과 민주평화당의 통합은 '산 넘어 산'일 것이라는 관측을 하는 정치전문가들이 적잖은 상태다. 민주당으로서는 평화당 소속 의원들이 이른바 개별적인 탈당 후 입당 형식으로 민주당으로 '투항'하는 형식이 아니라면 굳이 평화당과의 통합에 열성을 다할 것 같지는 않은 그런 당내 분위기다. 

이뿐만 아니다. 정가에선 현실적인 이유도 지적한다. 민주당의 각 지역위원장들은 대략 2년 정도 조직관리를 해왔는데 만일, 평화당과 통합을 한다면 지역조직이 흔들릴 우려가 더 크다는 시각이 많다. 게다가 이해찬 민주당 대표가 지난 1월 13일 국회에서 열린 신년기자회견을 통해 "옛날과 같은 인위적 이합집산 등은 없다"며 "철저히 지켜갈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어 이 같은 예측에 더욱 힘이 실린다.

지난달 27일 자유한국당 당권을 거머쥔 황교안 당대표가 추진할 보수세력 통합도 변수다. 황 신임 당대표는 취임사에서 "혁신의 깃발을 더욱 높이 올리고, 자유우파의 대통합을 이뤄내겠다"고 다짐했다. 이념과 진영논리로 볼 때 한국당이 흡수통합을 시도할 1순위는 바른미래당이다. 한국당 전당대회 과정에서 일부 당대표 후보자들의 전당대회 보이콧으로 인한 한국당의 내홍 가능성이 잠재된 가운데, 바른미래당과의 '짝짓기'가 과연 이뤄질지, 누가 이탈해 범여권에 들어갈지도 관심거리다. 

지역 정가에선 최근 '김경수 구속 사태'로 인해 민주당에 대한 불신 분위기도 적잖은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에 더해 이 지역에선 조선업 쇠퇴 등으로 지역 경제 상황도 녹록치 않다는 얘기가 적잖이 나돈다. 상대적으로 자유한국당에는 기회로 작용할 수 있는 상황이다. 한국당의 핵심 관계자는 "그간 한국당은 2·27 전당대회에 매몰돼 지역 정치권을 돌볼 겨를이 없었다"며 "이렇게 선거 전략이 부재한 상태라면 한국당에게 기회가 왔어도 못잡는 게 아니냐"고 불만을 토로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