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최승욱 기자
  • 입력 2019.02.22 10:23

방사청, '한국형 DARPA' 사업 시행 위해 관련 지침 개정
미래도전기술과 선행핵심기술 구분… 3월 중 사업 공고

방사청이 예로 들은 미래도전기술. (그래픽 제공=방사청)

[뉴스웍스=최승욱 기자] 미래전쟁 양상에 선제적으로 대비하면서 무기체계 소요를 선도하기위한 '한국형 DARPA' 사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된다.

미국 DARPA(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는 소련이 1957년 세계 최초로 인공위성 발사에 성공하면서 '스푸트니크 쇼크'를 받은 미국의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1958년 국방위기 대응차원에서 설립한 기관이다.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과제 위주로 연구를 수행한다. 냉전시대 소련의 핵공격에 대비, 컴퓨터 보호라는 군사적 목적으로 ‘ARPANET(알파넷, 인터넷의 시초)’을 개발했고  위치추적 위성을 활용해 핵잠수함의 정확한 위치 파악 기술을 확보, 추후 최초의 위성기반 항법 시스템(GPS)으로 발전시킨 곳으로 유명하다. 

방위사업청은 ‘한국형 DARPA’ 사업인 미래도전기술 개발사업의 추진 근거 및 절차 등을 포함한 '핵심기술 연구개발 업무처리 지침'을 개정, 동 사업을 본격 착수한다고 22일 밝혔다.

미래도전기술이란 군이 제기하는 무기체계 소요를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국방기술을 의미한다. 기존 핵심기술 기획 체계는 소요가 이미 결정된 무기체계를 중심으로 기술과제가 기획된 관계로 기술이 소요를 창출하는 절차가 미비했다. 국방기술개발 체계는 복잡한 '기술기획 절차'를 밟아야만해 빠르게 변하는 환경에 적절히 대응하기엔 어려움이 있었다. 기술변화를 국방 분야에 신속하게 반영하고, 더 나아가 미래전장의 개념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위해 새롭고 도전적인 기술개발제도를 도입한 것이다.

기술기획 절차 비교. (그림 제공=방사청) 

방사청은 이번 지침 개정을 통해 미래도전기술과 선행핵심기술 사업의 구분을 명확히 했다. 선행핵심기술개발사업은 소요가 결정(JSOP, 핵심기술기획서) 또는 예정(장기무기체계발전방향)된 무기체계에 적용될 기술로, 미래도전기술개발사업은 소요에 기반하지 않는 미래혁신·도전적 기술개발 사업으로 분리하여 운영한다.

미래도전기술개발 사업도 신설됐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첨단 과학기술이 무기체계 발전을 선도할 수 있도록 무기체계 소요에 기반하지 않는 기술개발사업을 새로 만들기위한 조치다. 이를 위해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고등기술원을 미래도전기술개발 전담기관으로 지정했다. 

미래도전기술개발 사업은 개방형 국방 R&D를 지향한다. 국방 R&D 분야에서 민간 산·학·연의 비교우위를 활용하기 위해 국과연을 포함한 모든 산·학·연이 미래도전기술개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
각 과제별로 과제 책임자가 가장 적합한 연구수행기관을 선정하게 된다.

미래도전기술개발사업은 2018년 69억 원의 예산으로 시범사업 형태로 처음 운영되었다. 이번 지침 개정으로 정식 사업 궤도에 오르게 된다. 

미래도전기술개발사업은 프로그램 관리자, 과제공모, 경진대회(7월 국방과학기술대제전과 연계 예정) 등 다양한 기술기획 유형을 운영하여 국방 및 산학연으로부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신속하게 얻을 수 있도록 했다. 올해 200억 원의 사업 예산이 반영된다. 향후 규모를 점차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2019년 미래도전기술 사업 공고는 3월 중 이뤄질 예정이다. 

왕정홍 방위사업청장은 “현 국방기술개발은 무기체계 소요에 연동되다 보니 도전적인 기술개발이 어려운 구조였다"며 "앞으로는 혁신적인 기술이 무기체계 소요를 창출해 낼 수 있도록 미래도전기술 개발을 강화할 예정이며, 민간의 우수한 연구 인력의 참여를 확대할 수 있도록 국방 연구개발 분야를 지속적으로 개방할 예정이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