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왕진화 기자
  • 입력 2019.03.26 07:02
(김필수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 대림대 교수)

신차 출시는 일반 소비자들이 가장 기다리는 이벤트중 하나다.

메이커 입장에서도 다른 마케팅 전략 등 판매를 올리는 여러 방법이 있지만 무엇보다 신차 효과는 가장 크고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이다.

메이커에서 대당 수천 억원이 소요되는 비용을 쏟아붓기에는 부담스럽기에, 적절한 시기를 맞춰 후속 신차를 내보낸다. 연식 변경, 페이트 리프트, 마이너 체인지, 메이저 체인지, 풀 체인지 등 비용이나 기간이 덜 소모되는 방법을 최대한 구사해 밀어내기를 한다.

문제는 이 기간이 길면 충성 고객이 방향을 틀고 다른 경쟁사 차량으로 이동하는 등 매출도 급감돼 해당 메이커에서의 손실이 매우 크다는 것이다.

국내에서는 최근 인증 절차에 따른 소요 시간이 길어지면서 이에 대한 불만도 쏟아지고 있다.

폭스바겐 디젤게이트 이후 환경검사 등 꼼꼼하고 세분화된 기준은 물론 연구실 내에서 하던 실험에서 길거리로 나가 실도로 테스트 기준으로 강화되면서 기간이 길어지고 비용도 늘어난 것이다. 설비나 요원이 적어서 인증기간이 훨씬 길어지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신차 인증은 국토교통부 담당의 안전인증과 환경부 소관의 환경인증과 배터리 등의 테스트를 통한 보조금 지급 인증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인증기준이 더욱 세분화되고 많아지고 있고 까다로워지면서 기간이 길어지는 추세다.

인증기간을 보면 안전인증은 1~3개월, 환경인증은 6개월 이상이 소요된다. 이 정도이면 연초 인증을 의뢰해도 빨라야 연말에 판매할 수 있는 셈이다. 

더욱 문제가 되는 부분은 같은 차량의 인증이 끝나고 추가된 장치나 연식이 조금 변경되어도 같은 절차를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는 점이다.

서류, 기간 및 비용 낭비라 할 수 있으며 최근 규제 혁파의 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중소기업은 제품을 만들어놓고 기다릴 시간이 없다.

최근에 부각되는 친환경차의 경우 꼭 대기업 제품만 있는 것이 아니라 중소·중견기업 제품도 있는 만큼 시간과의 싸움에서 정부기관이 전혀 도움이 되고 있지 못한다. 

메이커 입장에서는 심각한 손실을 입는 것은 물론이고 소비자들도 맘에 드는 차종을 구입할 수 있는 시기를 놓치면서 유통 문화가 더욱 악화된다는 것이다.

최근 수입차의 경우는 더 말할 필요가 없다.

서류심사 등 여러 면에서 더욱 까다로워지면서 심사기간이 길어지다 보니 신차는 개점휴업 상태의 전시장도 많아지고 있고, 오는 고객을 설득하느라 정신이 없는 것도 최근의 한 특성이라 할 수 있다.  

같은 시스템일 경우 추가되는 장치만 심사하고 인증해주는 절차의 요령이 필요하다. 

이제는 시간과의 싸움이고 속도전이 승리의 요소다.

필자는 예전부터 국내 인증시험이나 요원이 절대 부족해 제대로 된 인증 시스템이 작동되지 못한다고 지적해왔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융통성 확보는 기본이지만 특히 장비나 요원이 부족해 기간이 길어지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최근에 앞서 언급한 각종 이유가 더욱 많아지면서 인증기간이 길어지고 있는 부분은 심각하게 유의할 필요가 있다. 

필자는 앞으로 과감한 절차 생략을 촉구한다.

정부는 각성하고 타이밍을 늦추지 말아야 한다. 안전인증이나 환경인증을 각각 1~2개월로 당겨서 모든 절차를 마치는데 3~4개월 이내로 모두 끝내는 시설과 인적 충원이 필요하다.

언제까지 이런 저런 핑계를 대면서 인증기간을 늦출 것인지 묻고 싶다. 정부나 공공기관은 갑의 온상이 아닌 ‘을’로써 역할을 하고 기업 활성화나 일자리 창출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인증기간을 과감히 줄이고 과정 중 규제는 당연히 없애야 한다.

소비자가 조기에 원하는 신차를 구입할 수 있도록 정부가 도와야 할 때다. 그래야 일자리도 늘어나며, 그에 따른 시장도 활성화될 것이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