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19.03.28 12:17
(자료=한국은행)
(자료=한국은행)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지난해 가계부채 증가세가 크게 둔화됐으나 취약차주의 채무상환 어려움은 커질 수 있어 주의가 당부된다.

2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가계부채 증가세는 둔화됐으나 가계부채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을 상회하면서 가계부채 비율은 계속 상승 중이다.

2018년 말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62.7%로 전년보다 2.9%포인트 올랐다. 명목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86.1%로 2.3%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말 기준 전체 가계대출 가운데 상위 30% 고소득 및 1~3등급 고신용 차주의 대출비중은 각각 64.4%, 70.8% 수준이다. 차주의 소득 대비 부채 비율(LTI)은 2018년말 현재 217.1%로 지속적으로 상승 추세다.

LTI의 구간별 분포를 보면 소득 대비 부채 부담이 비교적 적은 LTI 100% 미만인 차주 비중은 50.4%로 1.1%포인트 하락했으나 부채부담 수준이 크게 높은 LTI 300% 이상 차주 비중은 21.9%로 0.8%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하위 30%) 또는 저신용(7~10등급)인 취약차주의 부채 규모가 2015년 이후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들의 대출 규모는 지난해 86조8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4조1000억원 늘었다. 차주 수는 146만8000명으로 정부의 장기연체자에 대한 지원 등으로 3만1000명 감소했다.

또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이고 저신용인 차주의 대출 규모는 12조2000억원으로 5000억원 줄었다.

취약차주 대출 비중을 보면 비은행 비중이 64.8%으로 높고 권역별로는 상호금융(25.2%), 여전사(15.9%), 대부업(8.5%) 등의 순서로 확인됐다.

취약차주의 신용대출 비중은 41.7%로 1년 전보다 1.0%포인트 줄었으나 비취약차주(23.7%)에 비해 여전히 2배 정도 높은 수준이다.

한은 관계자는 “대출규제 강화, 주택거래 위축 등으로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이러한 흐름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다만 “우리나라의 가계부채가 주요국에 비해 이미 높은 수준인 데다 거시경제의 안정적 운영을 제약하는 주요 취약요인으로 지목되고 있어 지속적인 대응노력이 필요하다”며 “대내외 여건 악화시 취약차주의 채무상환 어려움이 커질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