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고종관 기자
  • 입력 2019.03.29 11:24

질병관리본부 고위험병원체분석과 이기은 박사, 외국어대 미생물학과 박중찬 교수팀

[뉴스웍스=고종관 기자] 국내 연구진이 생물테러로 이용되는 탄저균을 무력화하는 치료용 항체를 개발해 국산화에 한발 다가섰다.

질병관리본부는 고위험병원체분석과 이기은 박사팀과 한국외국어대 미생물학과 박중찬 교수팀이 생물테러 병원체인 탄저균 감염을 막을 수 있는 ‘치료용 인간항체 후보물질’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탄저균은 그람양성 간균으로 감염 경로에 따라 피부 탄저, 흡입 탄저, 위장 탄저로 구분된다. 피부에 노출되면 열감과 가려움증, 부스럼 및 수포화를 거쳐 2~6일 이후에는 악성농포를 형성한다. 소화기감염 시엔 발열과 심한 복통이 주 증상이다. 사망률이 25~60%로 항생제가 질병의 진행을 억제하지 못한다.

생물테러로 이용되는 것이 호흡기 탄저균이다. 호흡을 통해 몸에 들어와 초기에는 감기나 폐렴 같은 증상이 나타나지만 독소로 인해 출혈성 흉부임파선염이 유발되고, 그로 인해 사망한다. 사망률은 100%에 달하고, 항생제를 써도 치료효과는 없다.

이번에 개발된 항체는 탄저독소를 구성하는 방어항원(protective antigen)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쇄가변분절(single-chain variable fragment, scFv)을 활용했다. 연구진은 이 항체를 바이오패닝(biopanning) 기술로 선별하고, 이를 인간 면역글로불린(IgG)으로 전환해 제조했다. 바이오패닝이란 다양한 종류의 펩티드 중 결합력이 높은 펩티드를 골라내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쥐실험을 통해 새로 개발된 항체의 효과를 입증했다.

탄저균에 감염되면 일반적으로 항생제를 이용해 치료한다. 하지만 항생제 치료 이전에 탄저균에 의해 이미 분비된 독소는 항생제로 제거할 수 없다는데 문제가 있다. 따라서 탄저 독소에 직접 작용하여 이를 중화하는 항체 치료제가 반드시 필요하다.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탄저 치료용항체는 모두 외국 제품들이다. 따라서 단가가 비싼데다 대량으로 수입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국내에서 생물테러 발생시 시의적절하게 대량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항체의 국산화가 절실한 상황이었다.

이번 연구결과는 3월15일 국내 특허 출원됐으며, Elsevier에서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2월5일자에 게재됐다.

질병관리본부는 “이번 탄저균 항체의 국산화가 이뤄지면 국내에서 자연발생 또는 생물테러에 의한 탄저균이 확산될 때 값싸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