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고종관 기자
  • 입력 2019.04.18 11:45

예방 가능한 질환 인식 필요…삶의 질 높이고 사회적 부담 줄여야

정읍의 한 보건소에서 재활을 하고 있는 어르신들.
정읍의 한 보건소에서 재활에 힘쓰고 있는 장애어르신들.

[뉴스웍스=고종관 기자] 노인장애인이 큰 폭으로 증가해 인구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2018년 기준 65세 노인장애인 수는 120만6482명에 이른다. 이는 전체 65세 노인 인구 765만408명의 15.7%다. 6~7명 중 1명이 장애인인 셈이다.

증가세로 보면 노인장애인은 2011년 95만7427명에서 2014년 103만2799명, 2016년 108만8700명을 기록했다. 이 수치는 2018년 120만6000여명으로 껑충 뛴다. 그동안 평균 2~3만명 증가세에서 최근들어 매년 6만명 수준으로 급증하고 있는 것이다. 노인장애인이 전체 장애인 중 차지하는 비율을 보면 2011년 38%에서 2014년 41.4%, 2016년 43.4%로 인구의 고령화가 진전될수록 그 비중도 크게 늘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장애별로 보면 지체장애인이 60만150명(49.7%)으로 가장 많다. 다음이 시각장애인이 25만2132명, 청각장애인 14만265명, 뇌병변장애인 12만6738명, 신장장애인 3만2617명 순이다.

문제는 노인장애인의 많은 수가 후천성 장애인라는 사실이다. 이 같은 사실은 우리나라 인구 대비 등록장애인 비중을 보면 알 수 있다. 복지부는 전체 장애인 수를 인구의 5% 수준인 258만6000여명으로 집계했다. 이 통계를 근거로 간단하게 계산해봐도 노인장애인 중 80여만 명이 후천적으로 발생한 장애를 안고 여생을 살아가는 것이다.

노인 장애를 유발하는 유형은 다양하다. 뇌병변장애는 뇌졸중이 원인이다. 또 낙상에 의해 골절이 발생해 지체장애인이 되고, 그 결과 평생 누워지내야 하는 와상노인으로 전락한다. 혈액투석을 받아야 하는 신장장애는 당뇨병이나 콩팥질환에 의한 것으로 생활습관병이 만들어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문제는 노인장애인의 증가가 개인과 가족의 삶의 질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사회적 부담이 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현재의 장애인 정책에 노인장애인을 줄이는 노력이 포함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경희대병원 원장원 교수(가정의학)는 “100세 시대에는 노화로 인한 근감소증을 질환으로 인식해 생활습관 개선과 운동이 필요하다”며 “후천적 노인장애를 예방하려는 이 같은 범국민적 인식전환이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