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문병도 기자
  • 입력 2019.08.01 12:00

김승민 KIST 박사, 정현수 박사, 박종래 서울대 교수 연구팀

a) 본 연구에서 개발된 탄소나노튜브 섬유와 다른 종류의 탄소소재 기반 섬유 및 금속들과 비강도 및 비전기전도도 비교 그림 (b)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방식으로 산업적용을 위해 고안한 직접방사법 연속 후처리 공정 모식도
직접방사법 연속 후처리 공정 모식도 (그림제공=KIST)

[뉴스웍스=문병도 기자] 김승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탄소융합소재연구센터  박사, 정현수 기능성복합소재연구센터  박사, 박종래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교수 공동 연구팀은 기존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 방법들의 장점만을 융합하여, 매우 가벼우면서 높은 강도와 전기전도도를 갖는 탄소나노튜브섬유를 빠르게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탄소나노튜브는 기존의 소재들이 갖고 있지 못한 우월한 물성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밝혀지며 탄소섬유를 뛰어넘을 수 있는 유일한 소재로 큰 기대를 받았다.

하지만 길이가 밀리미터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매우 짧아 실제 소재로 활용하지는 못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볏짚을 꼬듯이 꼬아 섬유화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탄소나노튜브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은 직접방사법과 습식방사법으로 분류된다.

전 세계 연구자들은 위 두 가지 방식 중 하나에 매진하여 연구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제작된 소재가 기존 소재보다 뛰어나지 못하거나 제조 공정이 복잡하여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KIST 연구진은 기존 두 가지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법의 장점만을 융합하여 새로운 제조 방법을 개발했다.

직접방사법으로 제조하면 공정이 비교적 간단하지만 만족할 만한 성능이 나오지 않아 후처리 공정이 필요했다.

KIST 연구팀은 이 후처리공정에 습식방사법에서 사용되는 용매와 응고방식을 적용시켰다.

이 방법으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섬유는 탄소섬유만큼이나 단단하고, 금속 소재에 버금가는 전기전도도를 보유하고 있으며, 일반 섬유와 같은 유연성을 갖고 있어 향후 우주, 항공 분야는 물론 웨어러블 전자 소자, 센서, 복합 소재 등 여러 응용 분야에 핵심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제조 방법은 탄소나노튜브의 합성에서부터 섬유화 및 고강도화를 위한 집적화 공정까지 수 분내에 이루어지는 방법으로써, 향후 탄소나노튜브섬유를 상용화하는 데 있어 핵심 기술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김승민 박사는 “기존 산업에 사용되는 소재의 물성을 능가할 수 있는 탄소나노튜브섬유를 매우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는 데 본 연구의 중요성이 있다”라며 "탄소나노튜브섬유 제조 기술을 더욱 발전시키는 데 매진하겠다"라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으로 KIST 오픈리서치프로그램을 통해 수행된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최신호에 게재 됐다. 이 기술은 술은 한국, 미국에 특허 등록됐다. 

김승민(왼쪽부터) 박사, 정현수 교수, 박종래 교수, 정연수 박사, 이재근 박사, 이동명 박사(사진제공=KIST)
김승민(왼쪽부터) 박사, 정현수 교수, 박종래 교수, 정연수 박사, 이재근 박사, 이동명 박사(사진제공=KIST)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