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문병도 기자
  • 입력 2019.08.02 13:58
콩고민주공화국 내 국경없는의사회 에볼라 대응 활동 지역 (사진제공=국경없는의사회)

[뉴스웍스=문병도 기자] 국경없는의사회는 2018년 8월 콩고민주공화국 에볼라 확산 선언으로부터 1년이 지난 지금, 여전히 상황은 나아지지 않고 있으며 긴급 대응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사상 최악의 에볼라 대유행이 2년차에 접어들었지만 올해 7월에만 에볼라 확진 판정 환자가 80~100명에 이르는 등 상황은 나아지지 않고 있다.

6월에는 우간다에서도 민주콩고를 방문한 사람들의 에볼라 감염 사례가 보고됐으며 이번 주에는 인구 150만명 규모의 도시 민주콩고 고마에서도 두 번째 에볼라 환자가 발생했다.

작년 8월 이후 민주콩고에서는 2600여명이 에볼라에 감염됐고, 약 1700명이 사망했다.

전체 에볼라 사망자 중 약 3분의 1이 사후에 확진 됐다.

증상이 시작되고 에볼라 치료 센터에 입원하기까지는 평균 6일이 걸리며 이 기간 동안 증세가 악화되고 바이러스가 타인에게 전염되기도 한다.

과거 에볼라 사태 때는 부족했던 시험용 백신이나 개발단계에 있는 치료제까지 동원됐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의 대응 활동은 에볼라 확산을 통제하지 못했다.

에볼라 초기 확산 시점부터 민주콩고의 불안정한 치안은 대응 활동에 큰 걸림돌로 언급되었다. 북동부 지역은 25년간 분쟁이 지속되고 있으며 무장 단체 활동이 잦은 곳이다.

에볼라 대응 활동을 하는 보건 인력에 대한 불신이 크다.

보건 인력이 공격 대상이 되면서 에볼라 환자 접촉자 추적, 비상 사태 조사, 예방접종 캠페인 등 에볼라 대응에 필수적인 활동이 중단되거나 제한, 취소되기도 했다.

지난 2월 국경없는의사회가 운영하던 카트와와 부템보 에볼라 치료 센터 또한 습격을 당해 국경없는의사회는 활동을 일시 중단해야 했다.

에볼라 대응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를 끌어내지 못한 배경을 높은 치사율에 대한 지역 주민의 공포심이나 분쟁 속 긴장 상태라는 지역적 특성만으로 설명할 수는 없다.

전반적인 에볼라 대응 접근 방식에 대한 재고와 개선이 필요하다.

에볼라 치료 및 이송 센터는 지역 주민에게 익숙한 의료 시설과는 완전히 다른 ‘병렬 체계’로 세워졌다.

치료센터는 지역주민 사이에서 비밀에 가려진 듯한 이 곳에서 가족으로부터 격리돼 사망하게 된다는 인식을 만들고 있다.

지난 1년간 입원해 검사를 받은 환자를 보면 90%가 에볼라 바이러스 음성 판정을 받았다. 하지만 바이러스 검사 후 결과를 기다리는 동안 환자에게 적절한 개별 치료를 제공할 역량이 부족해 지역 사회에서는 치료 시설을 꺼릴 수 밖에 없다.

국경없는의사회는 에볼라 대응 시설을 지역 보건소 내에서 운영해 증상 조기 보고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의심 환자 조기 파악을 용이하게 했다.

7월 베니의 에볼라 치료 센터에 입원한 환자 중 국경없는의사회 지원 보건소에서 이송된 환자가 20%였으며 이는 에볼라 환자 이송 센터에서 이송되어 온 환자보다 더 많은 비율이다.

국경없는의사회는 에볼라 대응에 시험용 백신 사용 확대를 권고하는 전문 기관의 의견에 동의한다.

지금까지 에볼라 확진 환자 접촉 기록이 있는 사람과 에볼라 환자 치료 일선에 있는 인력에게 예방접종을 실시하는 ‘포위 접종’ 전략에 따라 총 17만명이 예방접종을 받았으나, 감염 위험 지역 전체에 걸쳐 확대 실시해야 한다.

국경없는의사회는 “에볼라 확산 위기가 더 이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이러한 움직임들이 신속히 실행되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