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고종관 기자
  • 입력 2019.08.05 11:05

폭염에 의한 온열질환 예방하려면

[뉴스웍스=고종관 기자] 장마가 끝나면서 연일 폭염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매년 이맘때쯤이면 고온환경에 의한 온열질환자가 급증한다. 온열질환은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일사병이나 열사병이 대표적인 질환이다. 체온이 급격히 올라가면서 두통과 어지러움, 근육경련을 호소하고, 심하면 의식저하와 함께 생명을 위협하기도 한다.

취약계층은 야외에서 일하는 작업자들과 체온조절이 어려운 고령자들이다. 온열질환자는 매년 1000여 명이 발병해 이중 10여 명이 사망한다. 고온질환에는 어떤 것이 있고, 증상과 예방 그리고 초기대응법을 문답형으로 소개한다. (도움말: 가천대길병원 가정의학과 고기동 교수, 질병관리본부)

Q: 폭염주의보는 언제 내려지나.

A: 폭염주의보와 폭염경보로 구분한다. 하루 최고기온이 33℃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때 주의보, 최고기온이 이보다 높은 35℃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되면 폭염경보로 부른다.

Q: 온열질환도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생명을 위협하는 온열질환은.

A: 열사병과 열탈진을 들 수 있다. 열사병은 체온을 조절하는 중추의 기능이 상실한 상태를 말한다. 특징은 피부가 뜨겁지만 땀이 나지 않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때 체온을 재보면 섭씨 40도가 넘는다. 신속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의식을 잃고,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일사병은 고온환경으로 인해 혈액이 정맥혈관에 축적돼 혈액순환장애를 일으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뇌에 혈류공급이 안돼 산소공급이 떨어지고 이로인해 실신하거나 현기증을 유발한다.

열탈진은 위험도가 이보다 낮은 단계다. 체온이 섭씨 40도 이하이면서 땀을 많이 흘린다. 힘이 없고, 극심한 피로감을 호소한다. 얼굴이 창백하고, 때론 근육이 경련을 일으키기도 한다.

Q: 이밖에 온열질환으로 대처해야할 질환은?

A: 열경련, 열실신, 열부종, 열발진 등이 있다. 열경련은 어깨나 팔·다리, 복부, 손가락의 근육이 떨리는 것을 말한다. 또 열실신은 어지럽고,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는 현상이다. 이밖에도 열부종은 손발이나 발목이 붓는 것이며, 여러 개의 붉은 물집이나 뾰루지가 여기저기 발생하는 열발진 등이 있다.

Q: 초기증상과 응급대처법은?

A: 즉시 환자를 시원한 곳으로 옮겨 체온을 떨어뜨리는 것이 급선무다. 환자가 의식이 없을 때 먼저 119구급대에 응급 요청을 하고, 환자의 옷을 벗겨 몸을 시원하게 한다. 수분섭취가 중요하지만 의식이 없는 사람은 질식 위험이 있으므로 억지로 먹이지 않도록 한다.

의식이 있는 환자는 몸을 압박하는 옷을 풀어주고 시원한(너무 차갑지 않은) 물수건으로 몸을 닦아 체온을 내린다. 시원한 음료나 물을 공급한 뒤 그래도 증상 개선이 없으면 119에 신속히 연락한다.

Q: 무더위에 불가피하게 야외에서 작업해야 할 때는.

A: 폭염 시에는 갈증을 느끼기 이전부터 규칙적으로 수분을 섭취해야 한다. 또 어지러움, 두통, 메스꺼움 등 초기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작업을 중단하고 시원한 곳으로 이동해 휴식을 취한다. 무엇보다 당일 일기예보를 청취해 폭염주의보나 경보가 발령되면 위험시간대(12시~17시)의 활동을 줄여야 한다. 불가피하게 작업할 때는 챙 넓은 모자, 밝고 헐렁한 옷 등을 착용하면 온열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

특히 유의해야 할 사항이 술이나 다량의 카페인 음료를 마시는 것이다. 술과 카페인은 체내 수분을 강제 배출시키기 때문이다. 또 심혈관질환이나 당뇨병, 뇌졸중 경력이 있는 사람은 폭염에 더 취약할 수 있으므로 특히 주의하여야 한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