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문병도 기자
  • 입력 2019.08.20 12:00

김태송 KIST 연구단장, 유연규 국민대 교수 연구팀

실리콘 기판에 형성된 직경 8㎛ 홀 어레이 평면 및 단면, (중) 개개의 실리콘 홀 위에 형성된 구형상의 인공세포막 구조물 콘포컬 현미경 사진. 위쪽 및 옆쪽에서 본 인공세포막, (하 우측) 인공 세포구조물 크기 분포 그래프
개개의 실리콘 홀 위에 형성된 구형상의 인공세포막 구조물 콘포컬 현미경 사진. 위쪽 및 옆쪽에서 본 인공세포막 (사진제공=KIST)

[뉴스웍스=문병도 기자] 김태송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바이오마이크로시스템 연구단장 연구팀은 유연규 국민대 화학과 교수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반도체의 주된 재료인 실리콘 기판 위에 수만 개 이상의 3차원 인공세포막을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인공세포막 표면에 이온 채널 단백질을 결합하여, 특정 조건을 감지하면 이온 채널이 열리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포유동물은 개체마다 특유의 감각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개는 인간보다 약 1000배 이상 민감한 후각을 보유하고 있다.

개의 후각세포와, 냄새를 구별하는 이온 채널의 숫자가 훨씬 많기 때문이다.

이들 후각세포를 인공적으로 반도체 소자와 같은 초소형 칩 위에 구현할 수 있다면 공항에서 개를 훈련해 폭발물이나 마약과 같은 금지약물의 검사에 동원하지 않고도 아주 정밀하고 손쉽게 검사함으로써 재난과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인공세포막은 시계보다 정확히 이루어지는 생명체의 생명현상을 밝히거나, 생명현상에 관여하는 특정 반응을 밝히기 위한 모델실험, 새로운 약물을 개발하기 위한 사용 등으로 전 세계적으로 큰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는 생체환경과 유사한 액체에 떠 있는 세포 모양의 인공 세포를 이용한 것으로, 고체 기판 위에 고정된 인공세포막을 이용한 것이 아니었다.

고체에 고정된 막으로서의 연구는 2차원의 평평한 막을 이용한 방법이 발표되고 있으나, 넓은 표면적을 갖기에는 막의 안정성이 떨어져 인공세포막의 생존시간이 24시간 정도에 불과하여 초민감·감각 센싱 플랫폼으로써 응용하기에 부족한 수준이다.

KIST 연구진은 기존의 한계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실리콘 기판에 수만 개의 미세 구멍을 만들어 개개의 구멍 위에 균일하고 넓은 표면적을 갖는 3차원 인공세포(GUV) 구조물 제작 방법을 최초로 개발하였다.

5일 이상 구조물이 터지거나 변형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을 정도로 인공세포막의 안정성이 뛰어났다.

이 실리콘 기판 위에 제작된 3차원 인공세포막 구조물에 세로토닌 수용 채널을 다량 결합했다.

이 결합 된 채널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함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제작한 인공세포막이 구조물로서 뿐만 아니라 세포의 기능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밝혔다.

나아가 이를 응용하면 생명체만큼이나 민감하고 정확한 센서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김태송 박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은 아직도 우리가 알지 못하는 생명현상의 근원을 밝히기 위한 연구 플랫폼으로서뿐 아니라, 반도체 기판 위에 고정된 3D 인공 세포 집합체에 실제 개 코의 후각세포와 기능을 그대로 적용하여 마약이나 폭발물 같은 특정 물질을 인식하는 인공 개 코를 포함한 우수한 인공 오감 센싱 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으로 KIST 주요사업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바이오 센서 & 바이오일레긑로닉스' 최신호에 게재됐다.

김태송(왼쪽) 박사, 한원배 박사 (사진제공=KIST)
김태송(왼쪽) 박사, 한원배 박사 (사진제공=KIST)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