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19.08.21 12:17

하반기 중 '미래차·AI·5G+' 분야 육성 전략 수립…2023년까지 혁신인재 20만명 육성
대국민 민원용 챗봇·5G 재난관리 플랫폼 개발…혁신기업 금융 지원 확대

방기선 차관보 (사진=기획재정부)
방기선 차관보 (사진=기획재정부)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정부가 혁신성장 확산 및 가속화를 위해 하반기 중 ‘미래차 산업 육성전략’, ‘AI 국가전략’, ‘5G+ 전략투자·시행계획’ 등을 수립하고 중장기적인 정책지원을 지속하기로 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1일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제3차 혁신성장전략회의’를 주재해 ‘혁신성장 확산·가속화 전략’ 및 ‘혁신성장 확산·가속화를 위한 2020 전략투자방향’을 확정했다.

정부는 ‘혁신성장 확산・가속화 전략’을 통해 ‘산업생태계 전반의 혁신 가속화’, ‘혁신의 핵심주체인 기업의 혁신역량 제고’, ‘공공・사회 분야로의 혁신 확산’, ‘인재・규제・노동 등 혁신기반 강화’ 등 4대 전략을 추진한다. 

또 ‘2020 전략투자 방향’은 혁신성장의 가장 핵심이 되는 분야에 대규모 전략투자를 통해 정부가 마중물을 제공함으로써 민간의 투자를 유도하고 혁신성장의 성과를 조기에 가시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정부는 이를 달성하기 위해 1단계로 혁신 인프라를 확충하고 2단계로 핵심 신산업에 대해 전략적으로 투자하는 ‘도미노 확산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방기선 기재부 차관보는 이날 브리핑을 통해 “플랫폼과 선도사업을 중심으로 산업간 연결・융합을 촉진해 산업생태계 전반의 혁신을 가속화하겠다”며 “데이터・네트워크・AI(인공지능) 등 전 산업의 혁신을 위한 핵심이 되는 플랫폼을 강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데이터·네트워크·AI의 영문 이니셜 첫 자를 딴 D.N.A 분야의 핵심 인프라 확충에 집중 투자키로 했다.

방 차관보는 “2020년 D.N.A 분야에 1조7000억원을 투자해 혁신 확산의 기반을 더욱 강화하겠다”며 “중소기업 대상 AI 바우처를 신규 도입하고 클라우드 기반의 AI 로봇 기술개발, 대국민 민원용 챗봇 개발 등 데이터·AI와 타 분야를 융합할 수 있는 사업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5G 초기시장 창출을 위해노후 시설물 대상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한 5G 재난관리 플랫폼을 개발하는 등 5G 활성화의 마중물을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D.N.A 분야에 이어 3대 신산업인 미래차,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에 대해서도 전략적 투자를 실행키로 했다.

방 차관보는 “BIG3(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 분야는 3조원을 투자해 타산업으로의 혁신을 확산·가속화할 것”이라며 “시스템반도체 전주기 R&D 지원, 중소기업 대상 설계지원센터 신규 구축 등을 통해 비메모리 반도체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햇다.

또 “의료데이터 기반 연구·진료역량 제고를 위해 의료데이터 중심병원 5개를 신규 지정·지원하고 의료기기 고도화를 위한 대규모 R&D도 추진할 것”이라며 “전기차·수소차 배터리에 대한 R&D 확대 등을 통해 미래차 기술경쟁력을 제고하고 전기차·수소차 보급사업을 대폭 확대하겠다”고 언급했다.

(자료=기획재정부)
(자료=기획재정부)

한편 정부는 스마트공장, 에너지신산업, 핀테크 등 선도사업의 그간 성과를 바탕으로 핵심기술 개발, 공공시장 창출, 인프라 구축, 해외 진출 지원 등 분야별 전략을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산업생태계 전반의 혁신을 위해 플랫폼, 선도사업 분야를 중심으로 산업간 연결・융합을 촉진하는 가운데 산업생태계 혁신의 핵심주체인 기업의 혁신역량을 제고한다.

이를 위해 인적자본과 R&D 등 중소기업의 자체 혁신 역량을 좌우하는 무형자산 확충을 지원하고 기업들이 혁신 자원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산학 및 대・중소기업간 개방형 혁신 활성화를 추진한다.

또 혁신기업에 대한 금융 지원도 확대해 도전적 혁신활동을 지원하기로 했다. 벤처기업 등에 부담이 되는 IP 가치평가 비용 지원을 확대하고 IP 담보대출 채무불이행 발생 시에는 담보 IP 매입을 통한 회수를 지원해 IP 대출을 활성화할 방침이다.

방 차관보는 “고령화, 미세먼지 등 사회문제를 관련 신산업 육성에 전략적으로 활용할 것”이라며 “고령자・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하는 통합돌봄 모형, 돌봄로봇 등을 개발・보급해 돌봄서비스를 혁신하고 AI를 활용한 생애주기별 맞춤형 건강 관리 등 디지털 기반의 차세대 건강관리・복지서비스 체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환경 분야에서는 드론, IoT 기반 대기모니터링, 미세먼지 저감 기술 실증 등을 통해 대기환경 관리를 개선하겠다”며 “차세대 재활용 기술개발 및 상용화를 지원하여 관련 기업을 육성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인재, 규제・법제도 및 노동 등 혁신기반을 강화하겠다”며 “2023년까지 AI 인재 등 총 20만명 이상의 혁신인재를 육성해 신산업 분야 인재난 해소를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가장 시급한 AI 인재 육성을 위해 AI 대학원을 현재 3개에서 내년까지 8개로 확대하고 지역별 AI 실무교육 및 온라인 교육 등을 통해 AI 및 AI 융합역량 인재를 양성하겠다”며 “올해 하반기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을 5개 추가 지정하고 기업수요 맞춤형 훈련센터 30개소 신설 등을 통해 혁신인재 육성을 확대하겠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