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문병도 기자
  • 입력 2019.08.27 12:00

이성호 KIST 센터장, 조한익 건국대 교수 공동연구팀

가교화된 황(Bridging S)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수소생산 성능 향상이 급격히 일어남을 알 수 있다.
가교화된 황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수소생산 성능 향상이 급격히 일어남을 알 수 있다. (그림제공=KIST)

[뉴스웍스=문병도 기자] 이성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탄소융합소재연구센터장과 조한익 건국대 미래에너지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황화 몰리브데늄(MoS3)’과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하여, 수소를 고효율로 생산하는 촉매를 제조하는 데 성공했다.

최근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수소를 이용한 에너지저장 방식 등 전 세계적으로 수소 경제사회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세계 각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성공적인 수소 경제사회를 위해서는 에너지저장에 필요한 수소를 효율적으로 만들어 내야만 한다.

수소생산을 위해서는 주로 물을 전기분해하여 사용하는데, 이때 백금 등의 귀금속을 촉매로 사용하고 있다.

값비싸고 구하기 어려운 귀금속을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것은 경제적 부담이 매우 커서 백금 대신에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촉매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KIST 연구진은 비정질 황화 몰리브데늄(MoS3)에 중점을 두고 촉매 개발 연구를 진행했다.

이 물질은 황과 몰리브데늄이 결합되어 있는 무기화합물로서 수소를 흡착하는 능력이 우수하다.

이 성질을 갖는 황화 몰리브데늄을 촉매로 사용하면 물을 전기분해하여 친환경적이고 고효율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

기존의 촉매는 값비싼 백금 등의 귀금속으로 만들어지는 데 비해 원가가 매우 저렴해 차세대 수소생산 촉매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황화 몰리브데늄은 전기 전도도가 낮고, 촉매로써 잘 활성화되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성능을 보이지 못했다.

성능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황화 몰리브데늄의 크기나 형태를 조절하는 연구가 집중적으로 진행됐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여러 부작용이 발생했다.

KIST 연구진은 황화 몰리브데늄에 간단한 화학적 처리하여 특별한 결합구조를 다수 생성한 후,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도포하여 복합재료 촉매를 제조하였다.

그결과 수소를 생산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강하게 결합된 황’의 수가 많아져 기존 대비 약 30%향상된 성능을 보였다.

이성호 센터장은 “기존의 황화 몰리브데늄 촉매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성공사례”라며, “이를 이용한 저비용·고효율, 친환경 수소생산 성능 구현은 수소 자동차와 수소 충전소의 대중화를 앞당기는 중요한 초석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으로 KIST 주요사업, 기후변화대응과제로 수행된 이번 연구 결과는 촉매 분야 최고 수준 과학전문지인 ‘어플라이드 카탈리시스 B: 환경' 최신호에 실렸다.

이성호(왼쪽) 센터장, 조한익 교수 (사진제공=KIST)
이성호(왼쪽) 센터장, 조한익 교수 (사진제공=KIST)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