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왕진화 기자
  • 입력 2019.08.27 07:15
(<b>김필수</b> 자동차연구소 소장, 대림대 교수)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 대림대 교수)

자동차의 역사는 160년이 넘는다. 내연기관차의 역사는 약 130여년이지만 그보다 앞서 전기차가 운행됐다. 당시의 기술적인 한계로 내연기관차가 주도권을 쥐었지만 현재는 다시 전기차의 시대로 접어들기 시작했다. 그 만큼 최근의 자동차의 향방은 급격하기 '움직이는 가전제품'이나 '움직이는 생활공간'이라고 할 정도로 급변하고 있다는 의미이며, 자율주행차 등 다양성이 더욱 커지면서 기존의 자동차의 개념이 무너지기 시작했다. 앞으로만 보고 진행하다보니 과거를 보고 전통을 기반으로 미래를 보는 시각이 없어지고 있어 더욱 걱정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자동차 개발에 있어서 압축된 역사를 가지고 있어서 제대로 된 자동차 문화가 결여되어 있고, 문화적 측면에서는 자동차 박물관 하나 제대로 없는 '자동차 후진국'이기 때문이다.

독일 등 선진국은 자동차의 역사와 함께 한 국가인 만큼 자동차 역사를 통한 다양성과 문화적 공감대가 매우 큰 국가다. 제작사별로 자부심 강한 박물관이 즐비하고 100년 된 클래식 카를 통해 과거를 찾고 이를 다시 승화시키는 작업도 하면서 신개념 사업 모델을 찾고 있기 때문이다. 독일, 영국, 미국 등 선진국은 물론이고 자동차의 역사가 상대적으로 짧은 일본의 경우도 모든 제작사의 박물관을 중심으로 자사 브랜드 이미지 극대화와 자부심을 강조 중이다.

이에 따른 클래식 카 문화도 자동차 소비자 트랜드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각종 클래식 카 전시회는 물론 클래식 카 퍼레이드, 복원 기술과 클래식 카 부품 공급은 물론 이를 통한 비즈니스 모델도 다양하게 창출되어 풍성한 자동차 문화와 미래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주고 있다.

우리는 이에 비해 과거에 대한 기억이 전혀 없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압축된 자동차 기술역사를 바탕으로 짧은 경험하지 못한 자동차 문화로 인하여 클래식 카 문화는 아예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 할 수 있다. 그나마 삼성화재교통박물관이 명맥을 유지하고 있고 개인적으로 한정된 개념의 제주 자동차 박물관이 있을 뿐이며, 전국 지자체별로 몇 대씩 보유하는 전시행정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국내를 대표하는 현대차 그룹의 경우 아직도 자동차 박물관이 없고 현재 건축 중 본사인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 내에 박물관이 예정되어 있어서 수 년 이상은 기다려야 한다.

국내는 아예 클래식 카 관련 단체도 없고 전시회도 없으며, 세미나는 물론 거래 문화도 없어서 불모지에 가깝다. 해외에서 구입된 클래식 카도 정식으로 수입을 할 수 없어서 완구제품으로 들여와 번호판 하나 못 붙인다. 길거리 운행도 못하는 절름발이 상태다. 정책적인 배려도 전혀 없다고 할 수 있다. 아예 클래식 카 존재를 인지하지 못할 정도이니 관련 규정은 없다고 봐도 상관없다.

도리어 미세먼지 문제 등으로 모든 문제가 자동차에 있는 양 마녀 사냥식으로 애꿎게 자동차를 몰다보니 환경적인 규제만 까다로워지면서 예전 클래식 카의 배기기준으로는 지키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길거리에 끌고 나올 수 있는 자격 부여 자체가 없다는 것이다. 독일 등은 클래식 카를 공로 상에서 운영할 수 있는 별도의 환경 기준을 만들어 운행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문화적 활성화에 노력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예 관련 규정은 물론 인식조차 되어 있지 못한 편이다.

클래식 카는 20~30년 이상 된 역사적 의미나 희소가치 등 의미부여를 한 차종으로, 가격적 측면에서 고부가가치가 있어 일반적인 차량으로 운행하기 어렵다. 봄, 가을 좋은 날씨에 오랜 만에 길거리로 가지고 나와서 상태 점검과 내구성을 검증하는 정도다. 우리는 과거는 없고 앞만 보다보니 그나마 남아있는 클래식 카의 관리는 물론 보존 상태도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환경 규제만 하니 클래식 카는 인정도 하지 않으며, 관련 법규는 없고 클래식 카 거래인 옥션 등은 생각지도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심지어 그나마 지정한 근대 문화재인 약 20점의 클레식 카도 개인적으로 관리하고 지원조차 없어서 어떻게 운용되고 있는 지조차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도 지정을 하지 못한 역사적 가치가 높은 예비 근대 문화재도 즐비하나 지금도 어느 구석에서 녹이 슬고 썩어가고 있는 심각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당연히 비용으로 따지기 힘든 부가가치가 높은 차종도 많을 수밖에 없다.

클래식 카 문화는 과거로만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 과거의 자부심과 다양한 배경을 바탕으로 미래를 다시 보게 하는 거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과거가 없는 사회는 미래도 없다는 사실을 누구나 항상 인지했으면 좋겠다. 우리는 앞만 보고 정신없이 달려왔고 지금도 앞만 보고 달리고 있다는 것이다. '과거를 모르고 조상을 모르는 사회는 미래가 없다'라는 사실을 더욱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그래서 과거로의 여행이 미래를 위해 중요하다. 자동차가 이러한 분야의 핵심 분야라 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