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19.10.01 16:57

정부서울청사에서 미래차 전문가들과 간담회 갖고 의견 청취

김용범 기재부 차관 (사진=기획재정부)
김용범 기재부 차관 (사진=기획재정부)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정부가 조만간 ‘미래차 산업발전 전략’을 수립해 발표하기로 했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미래차 전문가들과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신성장산업으로서 미래차 산업의 활력을 제고하고 미래차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과제 등을 논의하기 위해 열렸다.

김 차관은 모두발언에서 “우리나라가 미래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민관 협력이 중요하다”며 “정부의 재정·세제지원 및 규제혁신 노력과 자동차 업계의 미래차 기술개발노력이 미래차 분야의 혁신성장을 촉진해 가시적 성과를 내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내년 미래차R&D, 보급사업 등 미래차 분야에 전년대비 64% 증액된 1조5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또 친환경차 개소세·취득세 감면, 신성장동력 분야(미래형 차동차 등) R&D세액공제 등도 지원한다.

업체의 노력도 지속되고 있다. 특히 현대차는 미국 앱티브(APTIV)사와 공동으로 자율주행차 개발을 위한 40억 달러 가치의 합작법인(JV, Joint Venture)을 설립한다고 지난달 23일 발표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친환경차 시장에서 경쟁력 확보를 위해 친환경차 세제혜택·보조금 등 현행 인센티브의 일정기간 유지가 필요하다”며 “수소충전소 인프라 확충을 위해서는 충전소 유형에 따른 보조금 차등 지원 및 초기 운영보조금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고태봉 하이투자증권 리서치본부장은 “자동차 산업을 둘러싼 급격한 변화가 TaaS3.0(Transportation as a Service)으로 융합되고 있다”며 이에 대응한 주요 선진국 및 글로벌 기업의 투자 방향을 소개했다.

고 본부장은 “폭스바겐은 미국의 포드와 MEB(Modular Electric Drive) 플랫폼 공유를 결정했다”며 “포드는 전기트럭 회사인 리비안에 500만 달러를 투자 등 기존의 글로벌 완성차 제조업체들이 새로운 플레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한국산업기술진흥원·산업연구원 등 연구기관에서는 “산업정책 측면에서 자동차 산업 지형 변화(내연기관→친환경차)로 인한 부품산업생태계의 불확실성을 고려해야한다”며 “중소 부품기업을 유형별로 구분해 체계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송미선 보스턴컨설팅그룹 파트너 등 민간에서는 “미래차 전환에 따라 기존 내연기관 부품업체의 포트폴리오 전환이 불가피하므로 구조조정 과정에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며 “미래차 분야 소프트웨어 스타트업 육성을 위해 R&D 투자지원과 핵심인력 확보가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업계에서는 “내연기관차 중심에서 친환경차·자율주행차 중심으로의 안정적 전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며 “내연기관차 사업부문의 캐시 카우 역할을 위한 개별소비세 인하 등도 여전히 필요하고 미래차 분야 선점을 위한 R&D 투자와 기술 M&A에 대한 정부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차관은 “민간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정부정책에 반영해 나갈 계획”이라며 “단기적으로 추진 가능한 정책과제는 추후 발표될 ‘미래차 산업 발전 전략(가칭)’ 수립 시 반영·검토할 것”이라고 답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