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허운연 기자
  • 입력 2019.10.08 10:24

8일 'GCF 민간투자 컨퍼런스' 참석… "인프라 투자에만 2030년까지 연간 6조9000억 달러 필요"

김회정 기재부 국제경제관리관 (사진=기획재정부)
김회정 기재부 국제경제관리관 (사진=기획재정부)

[뉴스웍스=허운연 기자] 김회정 기획재정부 국제경제관리관은 8일 “우리는 전례 없는 기후위기의 시대에 살고 있다”며 “향후 수십년간 대응은 인류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좌우하는 중요한 갈림길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 관리관은 이날 인천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열린 ‘GCF(녹색기후기금) 민간투자 컨퍼런스’에 참석해 “파리협정의 신기후체제 성공을 위해서는 글로벌 기후재원 확대와 민간재원 촉진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이어 “UN기후변화협약 재정상설위(SCF)에 따르면 전세계 기후재원은 2015~2016년 연간 약 6800억 달러”라며 “이 가운데 GCF를 포함한 공공재원은 일부에 불과하고 대부분은 민간재원”이라고 설명했다.

또 “지난해말 OECD·UN·WB 합동보고서에 따르면 기후대응을 위한 인프라 투자에만 2030년까지 연간 6조9000억 달러의 막대한 재원이 필요하다”며 “전세계 기후재원을 대규모로 확대하는 것은 우리 앞에 놓여진 엄중한 도전 과제이면서 그린 뉴딜을 통한 새로운 성장 기회가 될 수 있다”고 기대했다.

김 관리관은 이날 기후재원 및 GCF 역할에 대해 3가지를 제언했다. 김 관리관은 먼저 공공재원 확대와 GCF 성공적 재원보충을 강조하면서 “대부분의 기후대응 사업은 수익성이 낮고 리스크가 커 민간투자 유인이 쉽지 않은 만큼 공공재원의 민간재원 촉매제 역할이 강화돼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최근 UN기후정상회의에서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은 GCF 2배 공여를 선도적으로 발표했다”며 “GCF 첫 재원보충에 대한 한국의 2억 달러 공여 선언이 다른 국가의 동참을 이끌어내는 마중물 역할 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김 관리관은 “민간재원 촉진과 저탄소경제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해 GCF의 혁신적 역할이 강화돼야 한다”며 “민간부문은 기후대응에 있어 수익성 있는 사업 발굴이 어렵고 PPP(민관협력)·녹색채권 등 제도적 기반이 미비하며 적절한 규제·인센티브가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하는 만큼 직접투자 개시, 보증·보험 등 혁신적 금융수단 확대, 모범사례 공유·확산 등 혁신적인 플랫폼으로서 GCF 역할을 강화해 나가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또 “GCF와 유치국인 한국이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동반 성장해 나가길 기대한다”며 “한국은 지난 10년간 녹색성장정책을 통해 녹색성장기본법 등 성공적인 제도 및 경쟁력 있는 녹색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최근 우리 정부는 최초로 외평채를 ‘녹색 및 지속가능 채권’ 발행해 5억 달러를 성공적으로 조달한 경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의 이러한 성공적 경험·제도·기술을 기반으로 GCF와 협력 시너지를 통해 개도국 지원에 앞장서고 글로벌 기후대응의 핵심 파트너가 되겠다”며 “나아가 내년 6월 한국에서 녹색성장을 논의하는 P4G 정상회의를 개최할 계획인데 이를 계기로 국제적 공조 모멘텀이 지속 확대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