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손진석 기자
  • 입력 2019.11.18 11:37

미국시장에서 대형 SUV 중심으로 3.3% 증가…중국 점유율, 작년 19.2%에서 2.5%로 급락

2019년 1~3분기 해외 주요시장 브랜드 국적별 승용차 판매 현황(자료 제공=한국자동차산업협회)
2019년 1~3분기 해외 주요시장 브랜드 국적별 승용차 판매 현황(자료 제공=한국자동차산업협회)

[뉴스웍스=손진석 기자] 올해 1∼3분기 해외 주요시장의 승용차 판매가 전년 대비 5.6% 감소했으며, 감소폭도 2분기 4.9%에서 3분기 5.5%로 0.6%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국적별로는 유럽‧일본‧한국계는 상승하고, 미국계는 전년 수준, 중국계는 하락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미국, EU, 중국, 인도, 멕시코, 브라질, 러시아 등 주요 7개 시장 승용차 판매실적과 자동차산업 정책 동향을 담은 ‘해외 주요 자동차 시장 및 정책 동향, 2019년 1∼3분기’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의하면 한국 브랜드는 미국과 EU 시장에서 SUV 신모델과 전기동력차 투입 전략이 주효해 상대적으로 양호한 감소율(2.9%↓)을 기록하면서, 세계시장 점유율도 전년 동기 7.3%에서 7.5%로 상승했다.

현대 팰리세이드, 기아 텔루라이드 등 대형 SUV 신차 중심으로 미국시장에서 전년대비 3.3% 증가했다. 시장점유율도 2018년 1-3분기 7.4%에서 금년 1-3분기 7.7%로 상승했다.

EU시장은 소형세단과 SUV 기반 전기차의 선전으로 한국계 판매만 증가(0.7%↑)했으며, 일본계 부진 속에 시장점유율이 전년동기 6.6%에서 6.8%로 확장됐다.

글로벌 주요시장 중 미국은 대체수요의 소진‧판매 인센티브 축소에도 불구하고 SUV‧픽업 판매 호조로 전년 동기 대비 1.1% 감소에 그쳤으며, EU도 전기동력차의 판매증가로 1.6% 감소해 비교적 안정세를 보였다.

반면 중국과 인도는 경기둔화와 환경규제 강화 등으로 자동차 판매 침체가 장기화되어 각각 11.5%, 16.4% 줄며 감소폭이 커졌다. 멕시코는 정부의 긴축정책으로, 러시아는 부가가치세 인상으로 각각 7.4%, 2% 감소했다.

브랜드별 판매는 최대시장 중국에서 선전한 유럽과 일본계는 평균보다 양호한 감소율을 기록하여 세계시장 점유율이 높아졌으나, 중국시장에서 상대적으로 부진했던 미국과 중국계 점유율은 정체되거나 감소했다.

글로벌 시장에서 유럽브랜드 판매는 1.8% 감소했으나, 점유율은 EU 시장에서의 공급차질 해소와 중국 내 프리미엄 브랜드 중심 판매확대로 지난해 1-3분기 31.4%에서 금년 1-3분기 32.6%로 상승했다.

일본브랜드 판매는 3.8% 감소했다.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중국 내 하이브리드차의 판매확대로 전년 동기 25.2%에서 25.7%로 상승했다.

미국브랜드는 브라질을 제외한 6개 시장에서 판매가 5% 감소했고, 특히 중국 판매가 20% 이상 급감함으로써 세계시장 점유율은 2018년 1-3분기 19.2%에서 금년 1-3분기 19.3%로 정체를 보였다.

중국브랜드 판매는 2년째 이어진 중국 내수 위축으로 19.5% 감소하여, 세계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1-3분기 14.7%에서 금년 1-3분기 2.5%로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올해 3분기 발표된 주요국 정책동향을 살펴보면, 각국은 미래차 산업 발전을 위한 R&D 지원과 자동차 내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시행하고 있다.

정부 차원의 R&D 지원정책으로는 미국이 자율주행차 산업 선도를 위해 미시간, 캘리포니아 등 7개주 소재 대학과 연구기관에 6000만불(약 700억원)을 지원했으며, 독일도 수소모빌리티 구축을 위해 자국 산업계에 2350만유로(약 306억원)을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글로벌 경기둔화와 보호무역주의에 따른 내수침체를 타개하기 위해 독일의 전기차 보조금 지원확대, 중국의 주요 대도시 자동차 구매제한 정책 완화, 인도의 자동차 통합간접세 인하, 러시아의 신차구매 지원정책 등이 추진되고 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정만기 회장은 “세계 자동차 판매가 2년 연속 비교적 큰 감소세를 보이는 것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 있는 현”이라며 “이러한 어려운 국면에서도 한국 브랜드가 글로벌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선전하고 있는 것은 금년 투입된 신형 SUV와 전기동력차 모델이 크게 기여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또한 정 회장은 “자동차 내수가 전반적인 국내 경기에 미치는 파급영향을 고려해 금년 말 종료 예정인 승용차 개별소비세 인하와 노후 경유차 교체 지원을 앞으로도 지속 추진·적용할 필요성에 대해 검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