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문병도 기자
  • 입력 2019.12.03 14:53

이건웅, 정희진 한국전기연구원 박사 연구팀

'구리-그래핀 복합 파우더(왼쪽)'와 '구리-그래핀 복합잉크'. (사진제공=한국전기연구원)

[뉴스웍스=문병도 기자] 이건웅, 정희진  한국전기연구원(KER) 나노융합연구센터 박사팀이 개발한 '금속·그래핀 입자 및 복합잉크 제조기술'이 국내 업체에 이전됐다. 

시판중인 전도성 금속잉크의 주요 소재는 귀금속 계열의 은(Ag)으로 전기 전도도가 높고 산화가 잘 되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 가격이 매우 높다는 단점이 있다.

고품질 은 잉크의 경우 높은 수준의 기술력이 필요하다 보니 그동안 일본 수입의존도가 높았다.

은을 대체하기 위한 소재로 은과 유사한 전기 전도도를 가지면서도 가격은 10배나 저렴한 구리(Cu)가 있지만, 구리는 은보다 녹는점이 높고, 공기 중에 노출되면 표면에 산화막이 쉽게 형성돼 전기가 흐르지 않는다는 치명적인 약점을 가진다.

KERI 연구팀은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나고 전기 및 열 전도성이 우수해 금속 소재의 산화 방지막으로 활용이 가능한 '그래핀'에 주목했다. 

KERI 개발 기술은 꿈의 나노 신소재라고 불리는 '그래핀'을 구리에 합성해 가격은 낮추면서도 뛰어난 전기 전도성을 갖는 '구리-그래핀 복합 잉크'다.  

연구팀은 그래핀과 구리 입자의 단순한 혼합방식이 아닌 구리 입자 표면에 여러 층으로 이뤄진 고결정성의 그래핀을 용액상에서 직접 합성할 수 있는 '액상합성법'을 세계 최초로 시도했다.

이 방법을 통해 구리·그래핀 복합 입자를 대량으로 연속 공정할 수 있고, 잉크 및 전극 제조 시 발생할 수 있는 그래핀 탈착 현상을 방지해 6개월이 넘는 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구리의 산화를 막을 수 있었다. 

마이크론 크기의 값싼 상용 구리 입자를 사용해 가격 경쟁력을 높였고, 구리 입자의 크기 및 형태 조절을 통해 다양한 전기 전도도를 갖는 패턴 전극을 확보할 수 있어 폭넓은 응용 분야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를 기반으로 연구팀은 분산성이 우수한 고점도 잉크를 제조하고 스크린 인쇄를 통해 해상도가 높은 패턴 막을 형성했고, 광열소성을 통해 은과 유사한 수준의 전기 전도도를 구현함으로써 상용화 가능 기술을 확보했다. 

이건웅 박사는 "KERI 성과는 구리 잉크의 산화에 의한 전기적 불안정성을 그래핀의 복합화를 통해 획기적으로 해결한 기술로, 전도성 잉크 소재 분야의 대일 수입의존성을 탈피하고 기술 자립화를 실현해주는 대형 성과다"라고 말했다.  

KERI는 개발 기술을 금속소재 및 잉크 제조 전문기업인 대성금속에 착수기술료 5.5억원, 경상기술료 1.5% 조건으로 기술이전했다.

대성금속은 이미 파일럿규모에 해당하는 월 1톤의 구리·그래핀 복합 입자 대량 생산설비를 구축했고, 2020년 1분기에는 월 10톤 규모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노윤구 대성금속 대표는 "은을 대체한 구리·그래핀 복합 소재를 사용하면 가격 경쟁력이 매우 높아 다양한 제품을 만들고 테스트할 수 있어 기업 성장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정희진(왼쪽)·이건웅 박사가 개발한 '구리-그래핀 복합 파우더'와 '구리-그래핀 복합잉크'를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전기연구원)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