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이정은 기자
  • 입력 2019.12.17 05:05

"광주 남구에 '에너지 뉴딜'로 직장" "대곡역 부근에 유튜브·웹툰 등 콘텐츠 제작 지원센터 설립"

(이미지출처=pixabay)
(이미지출처=pixabay)

[뉴스웍스=이정은 기자] 2030세대는 금전적인 면에도 관심이 많다.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이 지난 2016년 1월부터 2018년 9월까지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물을 분석한 결과, 2030세대의 청년층은 '일자리와 고용'에 대해 약 129만회 언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교육&육아, 생활경제, 부동산, 생활문화 주제 순으로 2030세대들에게 많이 언급됐다. 이 중 일자리와 고용·생활경제·부동산은 경제와 직결되는 사안으로, 2030 청년들이 현실적으로 해당 문제에 직면해있음을 알 수 있다.

자연스레 경제는 총선에서도 표의 방향을 결정할 중요한 요인이 될 전망이다. 실제로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은 1992년 대통령 선거 당시 불리하다는 여론을 뒤엎고 "바보야 문제는 경제야"라는 표어를 내걸며 경쟁자인 아버지 부시 전 대통령을 꺾고 당선됐다.

총선 출마자들이 2030세대의 표심을 잡기 위해 주목해야 할 경제 이슈는 일자리, P2P금융의 2가지로 요약된다.

◆ 통계와 다른 취업난...일자리에 우는 청년들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한 수출량 감소와 지속적인 저성장 등으로 경제가 어려운 가운데 청년들이 일할만한 양질의 일자리는 줄어들고 있다. 정부는 통계청 발표를 인용해 "고용이 늘어나고 있다"고 전하고 있지만, 속을 뜯어보면 청년들의 취업 사정은 여전히 나아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통계청이 지난 11일 발표한 '1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15세 이상 고용률은 61.7%를 기록했고, 전체 취업자 수는 전년동기 대비 33만1000명 늘어난 2751만5000명이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60세 이상의 취업자 수는 500만6000명으로 40만8000명 늘었지만 30대 취업자 수는 2만6000명 감소, 40대는 17만9000명 감소했다.

고용의 질도 점차 악화되고 있다. 36시간 미만의 단기 일자리 취업자수는 지난해 같은 달 대비 63만6000명 늘었지만, 36시간 이상 일자리 취업자 수는 28만9000명 감소했다.

통계는 "실업률이 줄었다"고 외치고 있지만 실상은 60세 이상 노인 근로자, 36시간 미만의 단기 일자리만 늘어난 것이다.

총선 출마자들도 이 점에 주목해 공약을 내걸고 있다. 이정희 전 한국전력 상임감사는 지난 12일 내년 총선서 더불어민주당 광주 동남갑에 출마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며 주요 공약 중 하나로 '일자리 창출'을 내걸었다. 한전 출신인 그의 전문 분야를 살려 광주 남구에 '에너지 뉴딜'을 만들어 일자리 창출과 경제 성장을 이끌겠다는 것이다.

수원시 부시장 출신 더불어민주당 이재준 수원갑지역위원장은 12일 내년 총선에서 수원 장안갑에 출마를 선언하며 북수원테크노밸리 조성 및 1번국도 인근 상업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도시 장안'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자유한국당 박상준 전 고양시의원, 김미현 스타트업미래전략포럼 상임대표, 이호련 전 행정안전부 기획조정실 사무관 3명은 지난 12일 고양을·병·정 출마를 선언하며 "고양시민을 위한 교육·교통·일자리 프로젝트를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이 중 일자리 프로젝트와 관련해 박 전 시의원은 "대곡역 부근에 유튜브·웹툰 등 콘텐츠 제작을 돕는 센터를 설립해, 청년들의 구직활동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정부는 민간기업과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상생형 일자리' 만들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지난 1월 현대기아차와 광주의 '광주형 일자리'로 시작돼 10월에는 '군산형 일자리' 등으로 연이어 출범되고 있다. 상생형 일자리는 기업과 지자체, 정부가 연봉 3000만원 안팎의 임금으로 노동자를 고용해 일자리 숫자를 늘리고 정부가 주거, 보육 등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의 일자리 창출 전략이다.

코인열풍 물러나고 2030세대에 다가온 P2P금융

과거 4050 및 그 이상 세대들에게는 부동산이 최고의 투자처였다. 1992년 1기 신도시 조성, 2000년대 지속된 뉴타운 개발 그리고 이어진 재개발 호재로 부동산 가격은 천정부지로 올랐다. 그러나 이제 막 돈을 벌고 모으기 시작한 2030세대에게 부동산 투자는 현실적으로 '그림의 떡' 같은 존재다.   

몇 년 전 적은 액수로도 부동산 투자가 가능했던 '갭투자', "가즈아"라는 유행어를 양산한 '비트코인' 열풍 등 젊은 세대들에게 각광받던 투자처들이 각종 부작용을 낳으며 인기를 잃었고 젊은 세대들은 더욱더 투자처를 찾기 어려워졌다.

이에 대안으로 등장한 것이 P2P 투자다. P2P투자는 1만원 등 적은 금액으로 참여할 수 있고, 접근 방식이 대부분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서 이뤄지는 등 주머니가 가벼운 청년들에게 상대적으로 진입 장벽이 낮다. 투자금을 잃을 가능성이 있긴 하지만 금리가 일반 은행이나 저축은행보다 높아 비교적 좋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런 가운데 2030 청년층이 P2P 투자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하고 있다. P2P업체 렌딧이 지난 2015년 5월부터 2018년 4월까지 자사에 투자한 투자자를 분석한 결과 30대가 57%, 20대가 19.1%로 전체 투자자의 76%를 차지했다. 참고로 렌딧은 2018년 11월 기준 약 240억원의 투자금을 확보했다.

국회도 이러한 P2P금융의 가능성을 인정해 지난 10월 31일 세계 최초로 'P2P법'을 통과시켰다.

또한 P2P금융은 신용등급 5~7등급에게도 대출이 이뤄져, 사회초년생으로 상대적으로 신용등급이 낮은 청년들에게 자금 창구가 되어줄 전망이다.

아직 P2P금융 관련 뚜렷한 총선 출마자들의 공약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청년들이 관심있게 지켜보는 경제이슈인 만큼 정치권에서도 주의깊게 봐야 할 분야로 꼽힌다.

청년의 현재와 미래 위한 공약 세워야

경제가 중요한 이슈이니만큼 정계에서 청년 표심을 공략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안이 나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난달 13일 내년 총선에서 2030세대 표심 공략을 위해 '청년신도시 조성'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민주연구원에 따르면 해당 정책안은 청년 세대와 신혼부부를 위해 수도권 신도시 일부를 청년신도시로 구성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임대주택을 대규모 공급하겠다는 방안이다. 부동산 해결 뿐 아니라 이를 통해 일자리 문제까지 해결할 예정이라는 것이 민주당의 입장이다.

이를 두고 학계에서 "주거 정책을 특정 연령대에 맞추는 것은 비현실적"이라며 "도시공학을 조금이라도 공부했다면 나올 수 없는 공약"이라는 비판도 나오지만 청년층의 주택 가격 부담을 덜고 1인 가구 수요를 흡수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는 측면도 있다.

다만 선심성 공약에 따른 정책은 결국 국고를 축낼 수 밖에 없다. 미래의 청년에게 독으로 돌아간다는 얘기다. 이미 부작용도 상당수 나타나고 있다. 진정 청년을 위하고 그들의 마음을 얻기 위한 정책을 발표하기 전에 한번 더 신중하게 효율성을 따지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