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한동수기자
  • 입력 2015.09.23 11:10

한국과 일본의 주력 수출산업 구조가 IT·전기전자·자동차부품 위주로 편중돼있어 세계 시장에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특히 일본의 엔저기조가 지속될 전망이어서 한국의 주력 수출 전선에 적지 않은 타격을 안길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반면 중국은 석유화학과 건설 부문에 대한 편중도가 높아 한·일 양국과 경합할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23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한·중·일 3국의 시가총액 100대 기업 매출과 영업이익을 중심으로 업종별 지형도를 분석한 결과, 국내 100대 기업 중 IT·전기전자 및 자동차·부품 업종 매출은 4372억 달러로 전체(1조716억 달러)의 40.8%를 차지했다.

일본도 시총 100대 기업 가운데 IT·전기전자 및 자동차·부품 업체 매출이 1조511억 달러로 전체(2조6044억 달러)의 40.4%를 차지했다. 한국과 거의 비슷한 편중도를 보이고 있는 셈이다.

한국은 삼성전자 등 IT·전기전자 관련 업체들이 25.5%(2738억 달러)로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냈다. 현대기아차를 비롯한 자동차·부품 업종의 매출 비중도 15.3%(1635억 달러)로 2위를 기록했다.

일본은 도요타를 비롯한 자동차·부품 업종이 22.4%(5833억 달러)로 가장 높았다. 히타치가 주도하는 IT·전기전자 업종이 18.0%(4678억 달러)로 그 뒤를 이었다.

영업이익을 기준으로 하면 이들 주력 산업에 대한 편중도는 한국이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IT·전기전자 및 자동차·부품업체 영업이익은 전체의 61.1%에 달했다. 반면 일본은 40.8%로 한국보다 20.3%포인트나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력 업종에 대한 이익 쏠림 현상이 한국에서 더 극심하다는 얘기다.

특히 한국은 IT·전기전자 업종의 영업이익 편중도가 특히 심했다. 시가총액 상위 100대 기업에서 IT·전기전자 업체들이 차지하는 매출 비중은 25.5%에 달하는 반면 영업이익 비중은 무려 42.1%에 달했다. 자동차·부품도 매출 비중은 15.3%인데 영업이익 비중은 19.0%로 나타났다.

반대로 일본은 자동차·부품의 매출비중이 22.4%인데 영업이익 비중도 26.3%로 거의 비슷했다. IT·전기전자도 매출 비중 18.0%에 영업이익 비중은 14.5%로 비슷한 균형을 이뤘다.

같은 업종 내에서 1위 기업이 차지하는 영업이익 편중도도 큰 차이를 보였다. IT·전기전자 업종에서 삼성전자가 차지하는 영업이익 비중이 74.8%에 달했지만, 일본 1위인 히타치는 18.8%에 불과했다. 자동차·부품업종도 현대·기아차는 66.9%에 달했지만, 일본의 도요타는 47.5%로 19.4%포인트 낮았다.

IT·전기전자·자동차 등을 제외한 '톱5' 업종은 한국의 경우 석유화학(12.7%)→에너지(7.5%)→철강(6.9%)→조선기계설비(5.2%)→건설(4.9%)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본은 상사(13.9%)→석유화학·통신(9.1%)→에너지(5.4%)→유통(4.6%) 등의 순이었다.

한·일 양국과 달리 중국은 석유화학과 건설 업종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중국 시총 100대 기업 매출에서 석유화학과 건설 업종 매출 비중은 무려 70.7%에 달했다. 철강과 자동차·부품(6.0%)→에너지(3.6%)→운송(3.4%)→조선기계설비(2.7)→통신(2.4%)→유통·IT·전기전자(1.1%) 순이었다.

영업이익도 석유화학(42.3%)과 건설(19.0%)이 전체의 61.3%로 3분의 2에 육박했다. 에너지(11.1%), 자동차·부품(7.4%), 운송(5.3%), 식음료(4.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