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문병도 기자
  • 입력 2020.01.19 12:00

 장차운, 최준우, 류혜진 KIST 박사 연구팀

반데르발스 자성체(FGT)의 자성 특성 제어법을 활용한 반도체 소자 모식도 (그림제공=KIST)

[뉴스웍스=문병도 기자] 장차운, 최준우, 류혜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스핀융합연구단 박사팀이 박세영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강상관계물질연구단 박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최근 차세대 반도체인 ‘스핀트로닉스’ 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반데르발스 자성체(Fe3GeTe2, FGT)의 자성 특성을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반데르발스 물질이란 약한 층간 결합으로 이루어진 층상구조 물질로, 2차원 물질인 그래핀을 포함하여 이황화몰리브덴 등 다양한 물질이 있다. 

다른 2차원 물질과의 조합을 통해 기존에 없던 새로운 소재로 바뀔 수 있어 그간 초전도성, 반도체성, 금속성, 절연성 등의 다양한 성질의 2차원 물질이 연구되어 왔다.

2017년 새로운 2차원 반데르발스 자성체들이 발견되며 전 세계적으로 연구에 속도가 붙기 시작했다. 

반데르발스 자성체는 퀴리온도, 보자력 등의 자성 특성이 소자 응용에 적합하지 않아 스핀트로닉스 소재로서 한계에 봉착하고 있었다.

KIST-IBS 공동연구진은 층상구조를 가진 반데르발스 자성체인 ‘FGT’의 특성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과 원리를 찾아냈다. 

연구진은 실험적으로 전자의 개수를 조절하며 자성체를 관찰한 결과, 반데르발스 자성체(FGT)의 특성 변화가 생기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그 원인이 제어한 전자의 개수로 자성체 내부에서 자화 방향에 따라 에너지가 바뀌는 현상 때문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결과는 반데르발스 자성체(FGT)의 자성 특성 변화 원인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다양한 2차원 자성체의 자성 특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게 됐다. 

연구진에 따르면, 원자 한 층 두께에 자성을 구현할 수 있는 반데르발스 물질의 특성 제어 가능성이 높아진다면, 실리콘보다 100배 이상 빠르게 전자를 이동시키는 스핀트로닉스 소자의 개발도 한층 빨라지게 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류혜진 KIST 박사는 “반데르발스 자성체 특성을 밝혀 스핀트로닉스 소자로 응용해 보고자 연구를 시작하게 됐다”라며 “반데르발스 자성물질과 다른 반데르발스 물질들의 이종 접합구조를 이용해, 보다 다양한 특성의 반도체 신소재 개발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으로 KIST 주요사업 및 창의형 융합연구사업, 해외협력기반조성-국가간협력기반조성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나노과학 분야의 국제 저널인 ‘나노 레터스' 최신 호에 게재됐다. 

박세영(왼쪽부터) 박사, 장차운 박사, 최준우 박사, 류혜진 박사, 김동섭 인턴 (사진제공=KIST)
박세영(왼쪽부터) 박사, 장차운 박사, 최준우 박사, 류혜진 박사, 김동섭 인턴 (사진제공=KIST)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