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손진석 기자
  • 입력 2020.01.21 15:05

수소위원회 CEO 총회 환영사 강조…"기술 혁신 통한 원가 낮추기와 완벽한 안전관리체계 구축이 중요"

정 수석부회장(앞줄 중앙 오른쪽)과 공동 회장사인 에어리퀴드 베누아 포티에 회장(앞줄 중앙 왼쪽) 등 수소위원회 연례 'CEO 총회'에 참석한 글로벌 기업 CEO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 제공=현대자동차)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앞줄 중앙 오른쪽)과 공동 회장사인 에어리퀴드 베누아 포티에 회장(앞줄 중앙 왼쪽) 등 수소위원회 연례 'CEO 총회'에 참석한 글로벌 기업 CEO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 제공=현대자동차)

[뉴스웍스=손진석 기자] 현대자동차그룹 정의선 수석부회장은 20일(현지 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수소위원회 ‘CEO 총회’에 공동회장으로 참석해 수소사회로 가기위한 3대 방향성을 제시했다.

정 수석부회장은 수소 분야 글로벌 CEO 협의체인 수소위원회 CEO 총회의 환영사를 통해 “미래 수소사회로 가는 지름길은 없다. 수소산업 각 분야별, 단계별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지속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정 수석부회장은 “기술 혁신을 통한 원가 저감과 일반 대중의 수용성 확대, 가치사슬 전반의 안전관리체계 구축 등 3가지는 수소 에너지가 ‘기후 비상사태’ 및 미래 에너지 전환의 실질적인 해법이 되려면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정 수석부회장의 메시지는 지난해 1월 수소위원회 공동회장 취임 이후 일관되게 강조해온 ‘각국 정부와 기업의 적극적인 수소사회 구현 및 더 나은 미래를 향한 동참’의 메시지를 보다 구체화한 것이라는 관련업계의 반응이다.

먼저, 기술 혁신을 통한 원가 저감과 관련해 정 수석부회장은 “수소산업 모든 분야에서 기술 혁신을 통한 원가 저감으로 지속 가능한 동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밝혔다.

높은 효율성과 친환경성을 갖춘 수소는 기존 화석연료의 한계를 극복할 궁극의 대체 에너지로 평가를 받고 있지만, 생산, 저장, 활용 등 가치사슬 전 단계에서 창조적 기술 혁신으로 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출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정 수석부회장은 수소사회 구현을 위해 강조한 일반 대중의 수용성 확대를 위해 “수소사회의 실질적 가치 및 비전을 효과적으로 제시해 일반 대중의 수용성을 확대하고 신 시장을 창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글로벌 컨설팅업체 FTI컨설팅이 이번 수소위원회 CEO 총회에서 공개한 미국, 중국, 일본, 독일 4개국 대상 설문조사에서도 수소에 대한 일반 대중들의 인지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나 수소에너지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 개선과 수소산업의 성장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수소사회 비전과 가치를 보다 적극적으로 알려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정 수석부회장은 최근 수소위원회와의 인터뷰에서 “주요 국가들이 추진 중인 수소도시가 미래 수소사회를 앞당기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결국 수소도시는 수소 기술을 검증할 수 있는 실험기지 기능과 미래 수소사회의 장점을 직관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실험장소가 되는 것이다.

정 수석부회장은 수소사회로 가기위해 필수조건인 안전관리체계 구축과 관련, “수소산업 가치사슬 전반의 완벽한 안전관리체계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공동의 노력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수소위원회는 지난 2017년 스위스 다보스 세계경제포럼(WEF)에서 출범한 수소 관련 글로벌 CEO 협의체로, 에너지, 화학, 완성차 및 부품 업체 등 전세계 주요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현대자동차와 프랑스의 세계적인 에너지업체 에어리퀴드가 공동 회장사를 맡고 있다. 

수소위원회는 수소기술 개발과 상용화에 대한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주요 20개국(G20) 에너지환경장관회의, 세계기후행동회의(GCAS), 세계경제포럼(WEF), 청정에너지장관회의(CEM), 국제에너지기구(IEA) 등과 연계해 다양한 산업 및 분야의 리더들과 긴밀한 협력을 추진해 왔다.

회원사는 2017년 출범 당시 13곳에서 약 6배 증가한 81곳으로 확대됐다. 다양한 산업 군을 대표하는 글로벌 기업들이 추가로 합류했으며, 특히 사우디 아람코, 브리티시 페트롤리엄(BP), 쉘(Shell), 토탈(TOTAL) 등 에너지 기업과 커민스(Cummins) 등 파워트레인 업체까지 참여하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